"콜레스테롤로 혈관 좁아진 40대이상 절반서 대장선종 발견"

서울아산병원, 4천871명 분석…"혈관·대장검사 권장"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죽상경화' 환자 가운데 절반은 대장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대장선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변정식 교수팀은 2012∼2016년 건강증진센터에서 경동맥초음파와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40세 이상 성인 4천871명의 검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죽상경화 진단은 혈관 내벽 두께가 1㎜ 이상이거나, 혈관 안에 콜레스테롤이 뭉친 덩어리인 죽상경화반이 발견됐을 때 내려진다.

 이번 연구에서는 경동맥 내벽 두께가 1㎜ 이상인 죽상경화 환자 50.1%에서 대장선종이 발견됐다. 반면 경동맥 내벽 두께가 1mm 이하인 정상 그룹에서는 대장선종 발견율이 37.8%에 그쳤다.

 또 죽상경화 환자에서는 대장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고위험선종이 15.2% 발견됐다. 이는 정상인의 고위험선종 발생률 8.8%보다 1.7배 높은 수치다.

 특히 죽상경화와 대장선종은 젊은층보다는 중장년층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상경화와 대장선종을 모두 진단받은 환자는 40대 5.9%, 50대 12.5%, 60대 이상 26.0%로, 나이가 들수록 두 질환이 함께 발병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남성의 경우 36.9%가 죽상경화, 50%가 대장선종을 진단받았다. 반면 여성은 18.7%가 죽상경화, 32.1%가 대장선종을 진단받아 남성보다 발병률이 낮았다.

 변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고연령 남성일수록 죽상경화와 대장선종을 함께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건강검진에서 콜레스테롤로 혈관 통로가 좁아졌다는 소견을 받았다면 대장선종도 의심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50세 이상 남성이라면 건강검진 때 혈관초음파와 대장내시경 검사를 같이 받아볼 것을 권장한다"며 "대장선종은 복통, 혈변 등의 자각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놓치기 쉽지만, 조기에 발견해 절제하면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다이제스티브 디지즈 앤 사이언스'(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USTR, 외국의 약값 억제 사례 조사 착수…韓도 대상 포함 가능성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외국에서 제약사가 받는 약값을 불공정하게 인위적으로 억제하는 경우가 있는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USTR은 23일(현지시간) 불합리하거나 차별적이며 미국의 환자들이 세계 제약 연구개발의 비용을 불균형하게 부담하도록 강제하는 효과가 있는 행동, 정책이나 관행과 관련해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다. 의견 수렴 대상에는 외국에서 제약 제품의 가격을 공정한 시장 가격 아래로 억누르는 경우도 포함된다. USTR은 오는 6월 27일까지 의견을 접수할 계획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미국인의 약값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발표하고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사들이 같은 약을 미국에서만 비싸게 팔고 있다면서 이는 사실상 미국 소비자들이 제약사의 연구개발 비용을 대부분 부담하도록 하고 외국 소비자들은 혁신 제약을 저렴한 가격에 이용하게 하는 "보조금"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들의 이 같은 "무임승차"를 끝내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적절한 조치를 하라고 USTR에 지시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무임승차의 대표적 사례로 유럽을 지목했지만, 앞으로 USTR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신생아의 빠른 심박도 재현 가능한 심혈관 모사 장치 개발
신생아의 빠르게 뛰는 심장박동까지 재현할 수 있는 심혈관 모사 장치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경희대 박윤석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모사한 소프트 심장 밸브와 고정밀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을 위해 인체의 혈압과 맥압 변화를 인공적으로 구현한 심혈관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기존 기계식 밸브나 유압 펌프 방식의 심혈관 시뮬레이터는 부피가 크고 정밀 제어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신생아나 소아의 빠른 심박수와 고강도 운동 중 발생하는 부정맥 등 병리적 상태까지 구현하기 위해서는 응답 속도와 정밀도가 높은 밸브 시스템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사람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본뜬 소프트 자성 밸브와 자성 심장판막을 핵심기술로 하는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3개의 판막엽으로 구성된 심장 대동맥 판막은 수축·이완기 심장 박동에 따라 혈액을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데, 이 3엽 구조를 닮은 자성 심장판막과 소프트 자성 밸브가 외부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마치 대동맥 판막처럼 자연스레 열리고 닫히게 된다. 유연성과 복원력이 우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