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화장시설 등록 불허했다 행정소송 패소한 옥천군 항소

군 "법에 독립된 건물 규정" vs 법원 "개개 시설 건물 내 없어도 돼"

 동물 화장시설 영업을 불허했다가 패소한 충북 옥천군이 1심 판결에 불복, 항소했다.

  5일 옥천군에 따르면 A씨는 2018년 12월 옥천군에 동물장묘업 등록을 신청했다.

 그러나 옥천군은 지난해 3월 불수리 처분을 했다.

 화장로가 건물 밖에 설치돼 있어 영업 등록을 위한 시설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동물보호법 시행규칙에는 '영업장은 독립된 건물이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과 같은 건물에 있을 경우에는 해당 시설과 분리되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법원의 판단은 옥천군과 달랐다.

 지난달 16일 청주지법 행정1부는 동물장묘업자 A씨가 옥천군수를 상대로 낸 '동물장묘업 영업 등록신청 불수리 처분 취소' 청구 소송에서 A씨의 손을 들어줬다.

 동물장묘업의 장례, 화장, 봉안 등 개개 시설이 한 건물 안에 있어야 할 합리적인 이유와 필요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다.

  이 재판부는 "(해당 시행규칙 내용은) 영업장의 전체 형태가 주위 건물 등과 구별되는 개별성, 독립성을 갖춰야 한다는 의미일 뿐 모든 시설이 한 건물에 모두 들어가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옥천군은 이 판결에 수긍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법 조항은 문구 그대로 해석해야 하며, 그런 점에서 화장로가 한 건물 내에 있거나 별도의 독립된 건물에 설치돼야 한다고 입장이다.

 이 동물화장시설은 창고시설을 묘지 관련 시설로 용도 변경한 것으로, 용적률을 따지면 추가 건물을 지을 수 없는 상황이다.

 군은 농림축산식품부에도 '독립된 건물'에 대한 유권 해석을 요청했다.

 군 관계자는 "항소심에서 해당 법 조항에 대한 법리적 해석을 받아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농림부 관계자는 "화장·봉안시설은 한 건물에 있어야 하고 벽이나 층으로 구분해야 한다"며 "'독립된 건물'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시설이 건물 내에 있어야 한다는 내용 중심으로 시행규칙 개정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