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약 이뇨제 클로르탈리돈, 부작용 많다"

 이뇨제 계열의 혈압강하제로 권장되고 있는 클로르탈리돈(chlorthalidone)이 의외로 부작용이 많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생의학 정보공학 실장 조지 립사크 박사 연구팀은 클로르탈리돈이 같은 이뇨제 계열의 혈압강하제 하이드로클로로티아자이드(hydrochlorothiazide)보다 저칼륨혈증(hypokalaemia), 전해질 불균형(electrolyte imbalance), 신장기능 저하 등 심각한 부작용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8일 보도했다.

 고혈압 치료를 받는 73만여 명의 17년간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특히 저칼륨혈증 발생률은 클로르탈리돈 그룹이 6.3%로 하이드로클로르티아자이드 그룹의 1.9%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클로르탈리돈의 용량을 낮추어 복용한 사람도 마찬가지였다.

 혈중 칼륨이 부족한 저칼륨혈증은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고 전해질 불균형은 의식장애, 경련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중 예방 효과는 두 이뇨제가 같았다.

 하이드로클로로티아자이드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뇨제이지만 클로르탈리돈이 작용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효과도 더 클 것이라는 이유로 선호되고 있다.

 그래서 미국 심장학회(ACC: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와 미국 심장협회(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지침은 클로르탈리돈을 권장하고 있다.

 이뇨제는 신장에서 수분과 나트륨의 배설을 촉진해 혈액의 양이 줄어든다. 이 때문에 혈압도 떨어지게 된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내과학(JAMA Internal Medicine)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PA 시행규칙에 거듭 반대…"신고제 교육, 안전 담보 못해"
오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대한간호협회(간협)가 하위법령인 진료지원(PA) 업무 수행 규칙에 대한 반대 의사를 거듭 밝혔다. 간협은 2일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2차 집회를 열고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을 '신고제'로 하겠다는 정부의 주장은 안전과 숙련도를 담보할 수 없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고제 교육에는 표준 교육 방식이 없다"며 "수천 개의 교육기관에서 수만 명의 진료지원 간호사가 수백 가지 방법으로 교육돼 배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진료지원 업무의 질을 유지하고 관리 감독할 체계적인 콘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며 "의료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공신력 있는 자격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 전국에서 1만여 명의 간호사가 참여했다. 간호사들은 '교육 이수증 찢기' 등의 퍼포먼스를 했다. 정부 안에 따르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이론 및 실기교육, 소속 의료기관에서의 현장실습으로 구성된다. 교육기관은 간협과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 유관 협회,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공공보건의료 지원센터, 그밖에 복지부 장관이 전담간호사 교육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