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사 주범 '비후성 심근증'…비만하면 2.2배 더 위험"

서울대병원, 건강검진 2천800만명 건강검진 분석결과

  비만한 사람은 돌연사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인 '비후성 심근증' 발생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후성 심근증은 특별한 원인 없이 심장의 근육이 크고 두꺼워지는 심장질환이다. 인구 500명당 1명꼴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심근증으로, 부정맥에 의한 돌연사와 운동 시 호흡곤란, 말기 심부전으로의 악화, 심근허혈로 인한 흉통이나 실신, 뇌졸중 등 치명적 합병증을 유발한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연구팀(김형관, 박준빈 교수)은 2009∼2014년 건강검진을 받은 2천800만명 중 비후성 심근증이 발병한 7천851명을 분석한 결과, 비만이 비후성 심근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예방심장학회지'(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아시아인 체질량지수(BMI) 기준에 따라 환자 7천851명을 저체중(118명), 표준체중(1천782명), 과체중(2천29명), 경도비만(3천435명), 중등도 이상 비만(487명)으로 나눠 비만이 비후성 심근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그 결과 과체중, 경도비만, 중등도 이상 비만은 표준체중보다 비후성 심근증 발생위험이 각각 1.5배, 2.2배, 2.9배 높았다.

 또 체질량지수가 1씩 증가함에 따라 비후성 심근증 발생위험은 11% 증가하는 연관성을 보였다.

이런 경향은 복부비만 정도를 보여주는 허리둘레에서도 유사했다. 허리둘레가 90㎝(여성 85㎝) 이상인 4천848명은 그렇지 않은 3천3명보다 비후성 심근증 발현 위험이 1.7배 높았다.

 이 연구에서는 비만 외에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으로 대표되는 대사이상질환도 비후성 심근증 발현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타고나는 유전자와 달리 비만과 대사이상은 충분히 개선이 가능한 영역"이라며 "비만과 대사이상을 조절해 비후성 심근증 발현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이 추가로 밝혀진다면, 진료가 질환의 선제적 예방을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의대, 미복귀 학생 처분 확정…1만명 이상 유급 가능성
전국 40개 의대의 미복귀 학생에 대한 유급·제적 처분이 7일 확정됐다. 무단결석으로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의대생들은 거의 전원 복귀했지만, 유급 대상 학생들은 대부분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1만명 이상의 의대생이 유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의대 학생회 대표들은 현 정부에서는 돌아갈 생각이 없음을 밝히며 '자퇴' 결의를 했다. 교육 당국과 각 대학 등에 따르면 전국 의대는 이날까지 미복귀 의대생의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교육부에 보고했다. 이날 이후로는 처분 결과를 번복할 수 없는 만큼 사실상 유급·제적 인원이 확정된 셈이다. 정부는 오는 9일 이후 전체 의대 유급·제적 현황을 공개하기로 했다. 일부 학교에서는 수십명 단위로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전향적인 복귀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수업 참여율은 지난달 말 26%에서 약간 오른 30% 안팎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전체 의대생 1만9천760명 중 약 1만여명이 유급 혹은 제적되는 셈이다. 일례로 전남대의 경우 70% 가까이가 유급되고, 휴학이 받아들여진 24학번을 제외한 25학번 대부분이 학사경고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대 의대의 경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