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골방정치' 드러낸 친윤 주도 단일화, 국민이 모를 줄 아나

서울고법 '이재명 재판' 대선 후로 변경, 사필귀정이다

최태원 회장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이 신뢰 회복 계기 되길

'울화통' 안고 사는 한국인… 사회적 정신건강 대응 나설 때

▲ 동아일보 = 국힘 단일화 내분… 전례 없는 '무임승차 짬짜미'의 예정된 귀결

법원, 이재명 재판 대선 후로 연기… 민주당도 절제해야

체코 원전 본계약 중단… 비행기에서 전해 들은 정부 대표단

▲ 서울신문 = 사실상 법원 '백기'에도, 멈추지 않는 민주당 '위인설법'

金·韓 단일화, '윤심' 진흙탕 설전까지 점입가경

경제사령탑 속수무책 공백… 실무 관료들 저력 발휘할 때

▲ 세계일보 = 빈손으로 끝난 김·한 담판, 후보 단일화 더 꼬였다

'李 방탄법안', 거부권 견제 없는 입법독재 서막인가

체코 원전 서명 직전 날벼락, 예측 못 한 정부 책임은 없나

▲ 아시아투데이 = 합의도출 무산시킨 金·韓, 역사에 책임져야

정치공세에 파기환송심 연기… 이러다 법치 무너진다

▲ 조선일보 = "즉시 단일화" 약속 번복 金, 정치력 부족 韓, 혀를 차게 한다

'대통령직이 범죄자 도피처 될 수 있다'는 합리적 우려

아직 원인 못 찾은 SKT 해킹 "보안 넘은 안보 문제"

▲ 중앙일보 = 법치주의 조롱하는 민주당의 위인설법

유급·제적 감수하더라도 의료교육 정상화 길 출발해야

▲ 한겨레 = '이재명 재판' 연기 당연, 대법원장 선거개입 책임져야

국민의힘 '단일화' 난장판, 대선에 관심이 있기는 하나

의대 집단 유급 임박, 정부 원칙 대응하고 만반 대비를

▲ 한국일보 = 李 파기환송심 대선 후로… 사법부도 민주당도 절제해야

국정 청사진 없는 대선… 나라의 미래가 안 보인다

최태원 회장의 SKT 해킹 사고 사과, 정보 보안 책임 강화를

▲ 글로벌이코노믹 = 외국인 관광 서비스의 질을 높일 때다

글로벌 기술전쟁서 핵심기술 지키려면

▲ 대한경제 = 겉도는 '준불연' 제도, 이천 화재 재발 위험 도사린다

체코 원전 계약 서명 무산… 佛전력공사의 끝없는 훼방

▲ 디지털타임스 = 민주, 대통령 당선시 재판정지 강행… 민주주의 조종 울린 폭거

현지 법원에 급제동 체코 원전… 끝까지 수주 성사에 총력을

▲ 매일경제 = 李 파기환송심 대선후로 연기…사법부 겁박도 중단돼야

외국자본에 무방비인 국가핵심기술 보호 규정

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전운'… 분쟁 연쇄확산 경계해야

▲ 브릿지경제 = '넥스트 팬데믹' 대응 넘어 백신 선도국 되려면

▲ 서울경제 = 개혁은 실종되고 선심 포퓰리즘 공약만 난무하는 대선

金·韓 단일화 '빈손' 회동 … 원칙·상식에 따라 불확실성 해소해야

삼성전자 8년만에 M&A, 규제 철폐로 신성장동력 키울 때다

▲ 이데일리 = 계약 하루 전 멈춘 26조 체코 원전, 마무리 이상 없어야

범죄 표적 우려 큰 154조 치매 자산, 관리·지원 필요하다

"대통령직, 범죄 도피처로 전락 우려 법무부, '대통령 재판 정지법' 반대

▲ 이투데이 = 해킹 범죄 심각성 곱씹게 하는 SK그룹 회장의 공개 사과

▲ 전자신문 = 보안, 기업 존폐 문제로 다뤄야

▲ 파이낸셜뉴스 = 경영 도움 안 되는 '전문성 제로' 사외이사 개선을

8년 만의 M&A 삼성, 성장동력 확보에 더 과감해야

▲ 한국경제 = '메이드 인 코리아' 둔갑 中 수출, 철저히 차단해야

민주당은 대법원장 고발과 법관 탄핵 협박, 고법은 재판 일정 파기

대선 D-26 … 李는 '1일 1공약', 국힘은 단일화 몸살

▲ 경북신문 = 중심 잃은 법치국가… 흔들리는 사법부

▲ 경북일보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국민적 소망이다

▲ 대경일보 = 사령탑 공백 속, 경제 부처와 금융 당국은 비상 체제 가동해야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사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대동맥류 환자, 10여년새 3배로…"스텐트시술 생존율 높여"
대표적 노인성 혈관 질환인 복부 대동맥류(AAA) 환자가 최근 10여년 사이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복부 대동맥류 환자는 2010년 4천148명에서 2022년 1만3천169명으로 약 3.2배로 늘어났다고 25일 밝혔다. 복부 대동맥류는 배 속의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 일부가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대동맥이 파열되면 대량 출혈로 생명을 잃을 수 있어 '조용한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주요 원인은 혈관 벽을 약하게 하는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이다. 특히 고령의 남성에서 다수 발생하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위험하다. 복부 대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복부나 등, 허리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복부에 쿵쿵 뛰는 듯한 박동감을 느끼는 것도 대표적인 의심 신호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대부분 대동맥이 파열하기 직전이거나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조기 진단을 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정기 검진으로 미리 발견해야 한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복부 대동맥류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인공 혈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