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골방정치' 드러낸 친윤 주도 단일화, 국민이 모를 줄 아나

서울고법 '이재명 재판' 대선 후로 변경, 사필귀정이다

최태원 회장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이 신뢰 회복 계기 되길

'울화통' 안고 사는 한국인… 사회적 정신건강 대응 나설 때

▲ 동아일보 = 국힘 단일화 내분… 전례 없는 '무임승차 짬짜미'의 예정된 귀결

법원, 이재명 재판 대선 후로 연기… 민주당도 절제해야

체코 원전 본계약 중단… 비행기에서 전해 들은 정부 대표단

▲ 서울신문 = 사실상 법원 '백기'에도, 멈추지 않는 민주당 '위인설법'

金·韓 단일화, '윤심' 진흙탕 설전까지 점입가경

경제사령탑 속수무책 공백… 실무 관료들 저력 발휘할 때

▲ 세계일보 = 빈손으로 끝난 김·한 담판, 후보 단일화 더 꼬였다

'李 방탄법안', 거부권 견제 없는 입법독재 서막인가

체코 원전 서명 직전 날벼락, 예측 못 한 정부 책임은 없나

▲ 아시아투데이 = 합의도출 무산시킨 金·韓, 역사에 책임져야

정치공세에 파기환송심 연기… 이러다 법치 무너진다

▲ 조선일보 = "즉시 단일화" 약속 번복 金, 정치력 부족 韓, 혀를 차게 한다

'대통령직이 범죄자 도피처 될 수 있다'는 합리적 우려

아직 원인 못 찾은 SKT 해킹 "보안 넘은 안보 문제"

▲ 중앙일보 = 법치주의 조롱하는 민주당의 위인설법

유급·제적 감수하더라도 의료교육 정상화 길 출발해야

▲ 한겨레 = '이재명 재판' 연기 당연, 대법원장 선거개입 책임져야

국민의힘 '단일화' 난장판, 대선에 관심이 있기는 하나

의대 집단 유급 임박, 정부 원칙 대응하고 만반 대비를

▲ 한국일보 = 李 파기환송심 대선 후로… 사법부도 민주당도 절제해야

국정 청사진 없는 대선… 나라의 미래가 안 보인다

최태원 회장의 SKT 해킹 사고 사과, 정보 보안 책임 강화를

▲ 글로벌이코노믹 = 외국인 관광 서비스의 질을 높일 때다

글로벌 기술전쟁서 핵심기술 지키려면

▲ 대한경제 = 겉도는 '준불연' 제도, 이천 화재 재발 위험 도사린다

체코 원전 계약 서명 무산… 佛전력공사의 끝없는 훼방

▲ 디지털타임스 = 민주, 대통령 당선시 재판정지 강행… 민주주의 조종 울린 폭거

현지 법원에 급제동 체코 원전… 끝까지 수주 성사에 총력을

▲ 매일경제 = 李 파기환송심 대선후로 연기…사법부 겁박도 중단돼야

외국자본에 무방비인 국가핵심기술 보호 규정

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전운'… 분쟁 연쇄확산 경계해야

▲ 브릿지경제 = '넥스트 팬데믹' 대응 넘어 백신 선도국 되려면

▲ 서울경제 = 개혁은 실종되고 선심 포퓰리즘 공약만 난무하는 대선

金·韓 단일화 '빈손' 회동 … 원칙·상식에 따라 불확실성 해소해야

삼성전자 8년만에 M&A, 규제 철폐로 신성장동력 키울 때다

▲ 이데일리 = 계약 하루 전 멈춘 26조 체코 원전, 마무리 이상 없어야

범죄 표적 우려 큰 154조 치매 자산, 관리·지원 필요하다

"대통령직, 범죄 도피처로 전락 우려 법무부, '대통령 재판 정지법' 반대

▲ 이투데이 = 해킹 범죄 심각성 곱씹게 하는 SK그룹 회장의 공개 사과

▲ 전자신문 = 보안, 기업 존폐 문제로 다뤄야

▲ 파이낸셜뉴스 = 경영 도움 안 되는 '전문성 제로' 사외이사 개선을

8년 만의 M&A 삼성, 성장동력 확보에 더 과감해야

▲ 한국경제 = '메이드 인 코리아' 둔갑 中 수출, 철저히 차단해야

민주당은 대법원장 고발과 법관 탄핵 협박, 고법은 재판 일정 파기

대선 D-26 … 李는 '1일 1공약', 국힘은 단일화 몸살

▲ 경북신문 = 중심 잃은 법치국가… 흔들리는 사법부

▲ 경북일보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국민적 소망이다

▲ 대경일보 = 사령탑 공백 속, 경제 부처와 금융 당국은 비상 체제 가동해야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사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의대, 미복귀 학생 처분 확정…1만명 이상 유급 가능성
전국 40개 의대의 미복귀 학생에 대한 유급·제적 처분이 7일 확정됐다. 무단결석으로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의대생들은 거의 전원 복귀했지만, 유급 대상 학생들은 대부분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1만명 이상의 의대생이 유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의대 학생회 대표들은 현 정부에서는 돌아갈 생각이 없음을 밝히며 '자퇴' 결의를 했다. 교육 당국과 각 대학 등에 따르면 전국 의대는 이날까지 미복귀 의대생의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교육부에 보고했다. 이날 이후로는 처분 결과를 번복할 수 없는 만큼 사실상 유급·제적 인원이 확정된 셈이다. 정부는 오는 9일 이후 전체 의대 유급·제적 현황을 공개하기로 했다. 일부 학교에서는 수십명 단위로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전향적인 복귀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수업 참여율은 지난달 말 26%에서 약간 오른 30% 안팎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전체 의대생 1만9천760명 중 약 1만여명이 유급 혹은 제적되는 셈이다. 일례로 전남대의 경우 70% 가까이가 유급되고, 휴학이 받아들여진 24학번을 제외한 25학번 대부분이 학사경고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대 의대의 경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