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 스테로이드 장기 투여, 혈압 상승 위험"

  만성 염증 질환 치료에 쓰이는 경구 스테로이드 제제를 장기간 사용하면 혈압이 상승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류가 개발한 가장 강력한 염증 치료제인 스테로이드 제제는 류머티즘 질환, 퇴행성 관절염, 알레르기, 피부염, 비염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쓰이고 있으며 먹는 약, 바르는 약, 안약, 주사제 등 여러 형태로 나와 있다.

 효과가 좋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아 단기간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영국 리즈(Leeds) 대학 보건과학연구소(Institute of Health Sciences)의 마르 파후데스-로드리게스 박사 연구팀은 염증성 장 질환(IBD: inflammatory bowl disease), 류머티즘 관절염 같은 만성 염증 질환 환자가 경구 스테로이드 제제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를 장기간 고용량 투여하면 고혈압이 나타날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4일 보도했다.

 1998~2017년 사이에 389개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만성 염증 질환 환자 7만1천여 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들 중 35%는 염증성 장 질환, 28%는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였다.

 이 가운데 35%(2만4천896명)가 새로이 고혈압 진단을 받았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오래 복용한 환자일수록 또 누적 용량(cumulative dose)이 클수록 고혈압 발생률은 더욱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관찰연구 결과이기 때문에 경구 스테로이드 제제와 고혈압 사이에 인과관계가 성립한다는 증거는 될 수 없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그러나 경구 스테로이드 제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만성 염증 질환 환자는 고혈압이 나타나지 않는지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미국 뉴욕 레녹스 힐 병원 심장 전문의 사트지트 뷰스리 박사는 경구 스테로이드의 장기간 사용은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을 증가시켜 혈압이 급상승한다면서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고 논평했다.

 염증성 장 질환은 면역체계가 대장(궤양성 대장염) 또는 주로 소장(크론병)을 표적으로 오인, 공격함으로써 장 점막에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질환이다.

 류머티즘 관절염은 노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과는 달리 면역세포의 일종인 T세포가 팔목, 손가락, 발가락, 발목, 무릎 등 신체의 관절이 있는 부위를 공격해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염증성 장 질환과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는 면역체계의 자가면역 활동으로 인한 만성 염증을 진정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 제제를 고용량으로 장기간 사용하게 된다.

 이 연구 결과는 캐나다 의학협회 저널(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최신호(3월 23일 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니파바이러스' 1급 감염병 지정 예고…인도·방글라 등서 발생
인도와 방글라데시 등지에서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인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이 국내에서 제1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다. 2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을 제1급 감염병 목록에 추가하는 내용의 '질병관리청장이 지정하는 감염병의 종류 고시' 개정안이 전날 행정예고됐다. 행정예고와 관련 규정 정비 등을 거쳐 하반기 지정될 예정이다. 1급 감염병은 법정 감염병(1∼4급)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으로, 환자 발생 즉시 신고해야 한다. 현재 에볼라바이러스병, 라싸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등 17종이 지정돼 있다. 1급 감염병이 새로 지정되는 것은 2020년 코로나19 이후 5년 만이다. 코로나19는 2022년 2급 감염병으로 하향됐다.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은 감염된 과일박쥐를 통해 사람이나 돼지와 같은 동물에 전파된 후 사람 간 전파가 이뤄진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사람 간 전파는 직접 접촉 또는 체액 접촉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열, 두통,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감염 후반에는 일부 뇌부종이나 뇌염으로 이어진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으며 치명률이 40∼75%로 높은 편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니파바이러스 감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니파바이러스' 1급 감염병 지정 예고…인도·방글라 등서 발생
인도와 방글라데시 등지에서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인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이 국내에서 제1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다. 2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을 제1급 감염병 목록에 추가하는 내용의 '질병관리청장이 지정하는 감염병의 종류 고시' 개정안이 전날 행정예고됐다. 행정예고와 관련 규정 정비 등을 거쳐 하반기 지정될 예정이다. 1급 감염병은 법정 감염병(1∼4급)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으로, 환자 발생 즉시 신고해야 한다. 현재 에볼라바이러스병, 라싸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등 17종이 지정돼 있다. 1급 감염병이 새로 지정되는 것은 2020년 코로나19 이후 5년 만이다. 코로나19는 2022년 2급 감염병으로 하향됐다.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은 감염된 과일박쥐를 통해 사람이나 돼지와 같은 동물에 전파된 후 사람 간 전파가 이뤄진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사람 간 전파는 직접 접촉 또는 체액 접촉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열, 두통,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감염 후반에는 일부 뇌부종이나 뇌염으로 이어진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으며 치명률이 40∼75%로 높은 편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니파바이러스 감염

메디칼산업

더보기
'이 환자에 면역항암제 효과 있을까' 치료반응 예측 AI모델 개발
환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 면역항암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 가능한 인공지능(AI) 모델이 나왔다. 연세대 의대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연세암병원 위장관외과)는 미국 메이요 클리닉, 밴더빌트대학교 메디컬센터 연구진과 함께 환자의 암세포를 분석해 면역항암제 투여 시 효과를 볼 수 있을지를 사전에 확인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면역항암제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체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제다. 환자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치료 효과가 달리 나타나거나 아예 없을 수도 있어 적합한 환자군을 찾아 투여하는 게 중요하다. 위암, 대장암의 경우 'MSI-H'(고빈도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 유전자 변이가 나타나는 환자에게서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가 높은 편이다. 기존에는 환자의 MSI-H 보유 여부를 판별하려면 세포 조직을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면역조직화학염색 방법 등을 사용했지만, 암세포 내에서 MSI-H가 눈에 잘 띄지 않는 특정 부위에만 있으면 찾아낼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AI 모델은 암세포 사진을 수천 개의 작은 사진으로 잘게 나누고, 이후 모든 사진을 분석해 영역별로 MSI-H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