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세 이상 코로나19 사망률 20% 넘어…"요양병원 감염 주의해야"

확진자 1만384명 중 200명 사망…전체 평균 사망률 1.93%

 국내 80세 이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의 사망률이 20%를 넘었다.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80세 이상 코로나19 확진자의 사망률은 20.43%다. 확진자 470명 중 96명이 사망했다.

 80세 이상 확진자 사망률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연령별 사망률이 보고되기 시작한 3월 2일 3.7%였으나, 18일만인 3월 20일 10.0%, 이어 19일만인 이날 20%를 넘었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1만384명 가운데 사망자는 총 200명이다. 전체 평균 사망률은 1.81%다.

 사망자 대부분은 60세 이상의 노인이다. 10명 중 9명꼴이다. 80세 이상이 전체 48%(96명)를 차지해 가장 많고, 70대 30%(60명), 60대가 13.5%(27명)를 차지한다.

 사망률 역시 고령일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80세 이상 확진자의 사망률은 전체 평균보다 10.6배 높다. 80세 미만에서도 70대 사망률은 8.67%, 60대 사망률은 2.06%로 전체 평균 사망률보다 높게 나타났다.

 의료계는 80세 이상에서 치명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원인 중 하나로 요양기관의 집단감염을 꼽는다. 실제 최근 사망자 중 대다수는 한사랑요양병원, 푸른요양원 등에서 나왔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요양병원에서 감염자 진단이 늦게 이뤄지고 집단감염이 일어나면 사망률이 높아진다"며 "요양병원 입원환자들은 고령에 치매가 있는 등 (고위험군이기 때문에) 치명률을 낮추려면 요양병원 감염 예방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역시 요양병원에 방역책임자를 지정해 유증상자 발생을 관리하게 하는 등 요양기관 감염관리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또 감염자를 조기 발견하기 위해 요양기관별로 몇몇 사람들을 무작위로 선정해 표본검사를 하는 방안 등도 의료계와 논의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숨찬 증상에 노화 탓만?…생명 위협하는 의외의 병일 수도
70대 A씨는 얼마 전 갑작스럽게 숨이 차올라 응급실에 실려 갔다. 검사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다리 골절로 침대에만 누워 지내던 중 생긴 혈전(피떡)이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의료진은 조금만 늦었더라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했다. A씨가 진단받은 폐색전증은 심장병, 뇌졸중만큼 잘 알려진 병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질환 못지않게 치명적이다. 특히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노인들에게서 발병률이 꾸준히 오르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하다. 이 질환은 혈액 찌꺼기가 응고되면서 만들어진 혈전이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가 폐혈관을 막으면서 발생한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서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혈전은 다리의 심부정맥에서 시작돼 폐로 이동한다. 드물게 신체 다른 부위의 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보통 하나 이상의 심부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면 '심부정맥혈전증'(DVT)이라고 한다. 폐색전증의 대표 증상인 호흡곤란은 쉬는 동안에도 발생하며, 신체 활동을 하면 악화한다. 또한 심호흡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