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한 병원 공기 중 코로나19 RNA 검출…전염성 여부는 불확실

네이처에 논문 게재…좁고 밀폐된 공간서는 검출량 증가
연구진 "에어로졸 통한 감염 가능성 있다" 주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공기를 통한 감염 가능성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 우한의 병원 두 곳에서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에어로졸(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또는 액체 미립자)이 확인됐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과학지 '네이처'에 발간된 논문에 따르면 우한 인민병원과 증상이 약한 감염자를 치료하기 위해 설치한 우한의 또 다른 임시 병원 등 두 곳에서 지난 2~3월 에어로졸을 조사한 결과, 일부 장소에서 추출한 에어로졸 샘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RNA가 검출됐다.

 연구진은 격리병동이나 병실같이 환기가 잘되는 공간에선 검출량이 적었으나 환기가 잘되지 않는 좁은 화장실에선 검출량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좁고 밀폐된 공간을 피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아울러 의료진이 보호장비를 벗는 공간에서도 에어로졸에서 RNA가 검출됐다며 방호복에 묻었던 바이러스가 떨어져 공기에 섞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병원이 청소 절차를 더욱 강화하자 이 수치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진은 이같은 연구 결과만으로 공기를 통한 감염 가능성을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채취한 샘플에 감염성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는 점에서다.

 에어로졸에서 바이러스의 유전적 청사진인 RNA가 검출됐다고 해도 인체에 무해한 바이러스의 일부분이거나, 감염성이 없을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크기가 작은 비말은 단순히 호흡이나 대화만으로 방출되며, 공기에 뒤섞여 떠돌아다니다가 다른 사람이 흡입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논문에 참여한 버지니아공대의 린지 마 환경공학과 교수는 "공기 감염의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논문 초록에서도 "코로나19가 에어로졸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마 교수를 포함한 연구진은 에어로졸 감염 가능성이 크다는 쪽에 무게를 싣고 있으나 세계보건기구(WHO)는 에어로졸 같은 작은 입자를 통한 확산 증거를 찾을 수 없다며 이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다.

 한편 이번 조사는 거주용 건물이나 슈퍼마켓, 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도 이뤄졌는데 인파가 많은 2개 장소를 제외하고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검출된 장소의 경우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곳이어서 인파 중에 보균자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들 지역에서 사람들이 바이러스 방출을 상당 부분 막아주는 마스크를 착용했는지 여부는 언급되지 않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화상으로 피부를 잃은 사람이 자기 세포로 인공피부를 만들어 이식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포항공대(POSTECH)는 신소재공학과·융합대학원 이준민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강래희씨 연구팀이 이화여대 박보영 교수, 고려대 김한준 교수와 함께 환자의 세포와 조직으로 맞춤형 인공피부 이식재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화상이나 만성 상처 치료에 주로 사용하는 자가피부 이식법은 이식에 필요한 건강 피부가 부족하다거나 수술 후 흉터가 남는다는 한계가 있다. 대안으로 '무세포 진피 매트릭스'나 '세포 주사 요법' 등이 있으나 인공 재료의 경우 환자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세포 주사의 경우 생존율이 낮아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몸이 기억하는 재료로 새살을 만드는 법에 주목했다. 환자 피부에서 세포를 제거한 탈세포화 세포외기질을 만들고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와 함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재조합했다. 환자의 단백질 조성과 미세구조를 보존하고 있는 자기 조직을 피부 재생에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연구팀이 맞든 맞춤형 이식재는 실제 피부와 비슷한 복잡한 단백질 환경을 재현했다. 산소 공급을 위한 새로운 혈관도 활발히 자라났다. 동물실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