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약, 코로나19 증상 악화와 무관"

 어떤 혈압약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위험을 높이거나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뉴욕 타임스 인터넷판이 1일 보도했다.

 앞서 고혈압 환자는 코로나19에서 잘 회복되지 않고 증상이 악화되며 이는 혈압약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중국에서 나오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혈압약 중 특히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와 안지오텐신2 수용체 차단제(ARB)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도 나왔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세포에 침투할 때 숙주 세포의 ACE2 단백질과 결합하는데 이 두 가지 혈압약이 ACE2 단백질을 증가시켜 바이러스의 세포 진입을 쉽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되는 동물실험 결과도 있어 상황을 더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이 두 가지 혈압약은 오히려 코로나19 환자에게 폐의 염증을 진정시켜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것이 맞는지 밝히기 위해 미국 뉴욕대학 심혈관 임상연구센터의 하머니 헤이놀즈 교수 연구팀은 확진 후 치료를 받고 있는 코로나19 환자 5천894명을 포함해 총 1만2천594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했다.

 코로나19 환자 중에는 감염 확진 전에 각종 혈압약을 먹고 있던 고혈압 환자들도 있다.

 분석 결과 ACE 억제제, ARB, 칼슘통로 차단제, 베타차단제, 이뇨제 등 어떤 종류의 혈압약도 코로나19 감염 위험 또는 증상 악화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혈압약 복용이 코로나19 감염 위험 또는 증상 악화와 10%이상만 연관이 있으면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혈압약을 복용한 그룹과 복용하지 않는 그룹 사이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환자들의 연령, 성별, 인종, 흡연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했지만 이러한 결과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ACE 억제제는 리시노프릴, 카프토프릴 등 성분 이름이 '프릴'(-pril)로 끝나는 약이고 ARB는 로사르탄, 발사르탄 등 성분 이름이 '사르탄'(sartan)으로 끝난다.

 제품명으로 보면 ACE 억제제에는 제스트릴, 프리니빌 등이 있고 ARB에는 코자르, 아타칸드 등이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 권위 있는 의학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호(5월 1일 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