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제제 진해거담제 'GHX02' 임상 3상 시험 승인

한의학연·대전대 한방병원·한국신약 공동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한약제제 기반의 진해거담제 'GHX02'의 임상 3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고 7일 밝혔다.

 한의학연과 대전대 한방병원, 한국신약이 공동으로 개발한 GHX02는 동의보감에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는 처방으로 기재된 '과루행련환'(瓜蔞杏連丸)을 바탕으로 만든다.

 공동 연구팀은 과루행련환에 쓰인 한약재 황련, 과루인, 행인에 황금을 추가해 GHX02를 제조했다.

대전대 한방병원 박양춘 교수팀은 비임상 효력시험을 통해 GHX02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류코트리엔', 'PGE2' 등 염증 매개 물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면역 신호 물질)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임상 2상 시험에서도 급성·만성 기관지염 환자의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의학연 채성욱 박사팀도 인체의 기관지 상피세포 실험을 통해 GHX02가 기관지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작용 기전을 밝혔다.

 이번 임상 3상 시험은 급성 기관지염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기존 치료제와 비교하는 시험으로 진행된다.

 채성욱 박사는 "다양한 성분이 혼합된 한약제제는 여러 타깃에 동시에 작용해 만성 질환에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적어 장기 복용에 유리하다"며 "앞으로 치료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