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 줄기세포 분리 성공한 울산대병원 연구진<br>
[울산대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www.hmj2k.com/data/photos/20200521/art_15900725294582_0b2225.jpg)
울산대학교병원은 백혈병 환자 골수세포를 분석해 '백혈병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병원 혈액내과 교수진과 생의과학연구소 허숙경 박사팀은 혈액암 환자 골수세포를 심층 분석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유발하는 새로운 줄기세포 표면의 암 특이항원(CD45dimCD34+CD38-CD133+)을 찾아냈다.
이 항원을 가진 백혈병 줄기세포는 다른 종류 혈액암이나 건강한 사람들에게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나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 특이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 골수 내 백혈병 줄기세포 항원 비율이 높은 경우 환자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이 확인돼, 백혈병 환자 예후를 예측하는 지표로서 의미를 보였다.
백혈병 줄기세포는 백혈병 발병과 재발, 항암제 내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치료 반응을 평가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백혈병 줄기세포 발견 노력은 여러 연구를 통해 이어져 왔으나 백혈병 환자 혈액과 골수 속에 정상 혈액세포와 암세포 등 다양한 세포들이 혼재해 백혈병 줄기세포만 따로 구분해 찾아내기가 어렵다.
울산대병원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백혈병 줄기세포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을 발굴한 것으로 의의가 크다"며 "백혈병 재발을 막고 완치율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 항암제 개발과 면역치료 방안을 지속해서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지인 SCIE저널 2020 BMC cancer 20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