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중환자 3분의 2, 심부정맥혈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환자는 거의 3분의 2가 심부정맥혈전(DVT: deep venous thrombosis)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부정맥혈전은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다리 깊숙한 곳에 위치한 심부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것으로 이 혈전의 조각이 떨어져 나와 혈관을 타고 돌다가 폐동맥을 막으면 치명적인 폐동맥 색전증(PE: pulmonary embolism)이 발생한다.

 프랑스 북부 심장센터(Northern Cardiology Center) 응급의학 전문의 트리스탄 모리쇼-보샹 박사 연구팀이 집중치료실로 옮겨진 코로나19 중환자 34명의 치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은 집중치료실에 들어올 때와 48시간 후 하지 초음파 검사와 함께 혈액 샘플을 채취, 혈전 위험을 나타내는 단백질 표지인 디-다이머(D-dimer) 수치를 측정했다.

 그 결과 집중치료실에 들어온 날엔 65%, 이틀 후엔 79%가 심부정맥혈전으로 진단됐다.

 디-다이머는 체내에서 혈전이 용해될 때 부산물로 발생하는 단백질 중 하나로 보통 때는 혈중에 존재하지 않고 혈전이 형성된 경우에만 만들어진다.

 중환자 중 44%는 당뇨병, 38%는 고혈압 등 기저질환이 있었고 상당수가 비만이었다.

 만약 이 환자들이 보다 일찍 심부정맥혈전이 발견돼 즉시 항응고제가 투여됐더라면 증상이 호전돼 중환자실까지 가지 않았을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퇴원할 때도 디-다이머 수치가 높을 경우 퇴원 후 4~6주간 항응고제 투여를 계속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온라인판(5월 29일 자)에  발표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