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편두통 병력 있으면 일반인에 비해 노년 치매 위험 50% 높아"

  중년에 편두통 병력이 있었던 사람은 노년에 치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대학 의대 공중보건학과의 사브리나 이슬라모스카 교수 연구팀이 1935~1958년 사이에 태어나 2017년 이전에 60세가 된 6만2천578명의 병력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18일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31~58세 사이에 병원에서 편두통 진단을 받은 사람은 편두통 병력이 없는 사람에 비해 60세 이후에 치매가 나타날 위험이 5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편두통 진단 평균 연령은 49세, 환자의 약 70%가 여성이었다.

 특히 전조(aura)를 동반하는 편두통을 겪은 사람은 치매 위험이 2배, 전조가 없는 편두통이 있었던 사람은 20% 높았다.

 편두통 환자는 3명 중 한 명이 두통 발작이 시작되기에 앞서 번쩍이는 빛이 보이거나 시야가 흐려지거나 암점(blind spot)이 나타나거나 팔·다리가 쑤시는 등의 전조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편두통으로 병원 출입이 잦았던 사람일수록 치매 위험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병원에서 편두통 진단을 받았거나 편두통 때문에 병원을 자주 다녔다는 것은 그만큼 편두통이 심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 결과는 성별, 결혼 상태(marital status), 교육 수준, 정신질환, 기저질환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편두통은 뇌 위축(brain atrophy)으로 이어져 뇌 신경회로에 변화 또는 병변, 신경 퇴행을 일으키며 이 때문에 치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상 회의로 진행된 미국 두통 학회(American Headache Society)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