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항암제 무균조제 로봇 도입…환자와 약사 안전 지켜"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3월부터 항암제 무균조제 로봇 'APOTECAchemo'를 도입해 환자와 약사의 안전을 지키고 있다고 7일 밝혔다.

 항암제는 안전성이 확실하게 담보된 환경에서 정확하게 조제되지 않으면 암과 사투를 벌이는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또 조제 과정에서 주사침에 찔리거나 용기가 파손돼 약사가 약물에 노출되는 위험도 있다.

 아무리 전문적이고 경험 많은 약사라도 이런 부담감 속에서 반복 작업을 수행하면 실수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은 항암제 무균조제 로봇 APOTECAchemo를 도입해 안전사고와 착오를 줄였다. 이 로봇은 지난 3월부터 도입돼 이달 3일 누적 조제 8천건을 돌파했다. 현재 로봇 조제는 전체 항암제 무균조제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조제 로봇은 의사가 처방한 주사 항암제에 대해 약사가 용량과 용법을 검토한 후 진행을 확정하면 이를 바탕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조제 각 단계에서 약품과 수액의 이미지, 바코드를 인식해 정확한 약품이 투입됐는지를 확인하며, 약물 용량을 소수점 단위로 측정해 재구성하고 희석한다.

 완료 후에는 담당 약사가 최종 확인하고 라벨을 부착해 투여까지 안전하게 이뤄진다.

 분당서울대병원은 로봇이 안정적으로 가동되는 조제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미국 약전(USP) 가이드라인에 맞춰 음압을 유지해 밀폐된 공간으로 설계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항암제 노출 위험으로부터 보호된다.

 또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한 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작업자가 원격으로 조제실의 온도 습도를 실시간 확인하고 비상상황 알림을 받을 수 있게 했다.

 해당 로봇은 존스홉킨스 병원, 클리블랜드 클리닉을 비롯한 세계 51개 병원에 도입됐다. 국내에서는 분당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사용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美FDA,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 '65세 이상·고위험군' 제한 추진
미국 보건·의약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노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미 언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과 미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65세 이상 또는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하기로 하는 계획을 전날 발표했다. 또 FDA의 마틴 마카리 청장과 백신 책임자 비나이 프라사드 박사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한 글에서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은 제약사들이 장기 위약 대조군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승인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 언론은 이런 백신 규제 방침이 제약사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늘려 새로운 백신 개발에 장벽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백신은 변종을 거듭해 왔기 때문에 제약사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겨울철을 앞두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을 업데이트해왔다. 하지만 FDA 측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경우 위험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에 관해 FDA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