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제 주입 없이도 '숨어있는' 유방암 찾아낸다

서울대 하수민 교수팀 "확산강조 MRI, 기존 검사보다 암 발견율 높아"

 조영제를 주입하지 않고도 '확산강조 MRI(자가공명영상검사)'로 만져지지 않는 초기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확산강조 MRI 방식은 유방암 표준검사인 유방 촬영이나 유방  초음파보다도 암 발견율이 높았다.

 서울대병원 유방센터 하수민·장정민·문우경 영상의학과 교수팀은 유방암 환자 1천162명을 대상으로 유방 촬영, 유방 초음파, 확산강조 MRI 등 검사 방법을 비교·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확산강조 MRI는 조직 내에서 물 분자의 움직임을 측정해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암 조직은 주위 정상조직과 비교해서 물 분자가 확산하는 정도가 낮기 때문에 이 기술을 활용하면 구별이 가능하다. 검사 시간이 5분 정도로 짧고 조영제를 주사하지 않아 임산부, 조영제 알레르기가 있거나 신장기능이 저하된 여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조영제는 장기에서 종양 등을 영상으로 진단할 때에 조직이나 혈관 등이 잘 보이도록 인체에 투여하는 의약품을 칭한다.

 연구 결과 유방암 표준검사인 유방 촬영과 유방 초음파를 병행했을 때보다 확산강조 MRI로 환자를 진단할 때의 암 발견율이 2배 높았다.

 연구에서 전체 1천162명의 유방암 환자의 반대 측 유방에서 만져지지 않는 암이 새로 진단된 환자는 30명이었다.

 검사 방법에 따른 유방암 발견율은 유방 촬영 9명, 유방 촬영과 유방 초음파를 병행했을 때 12명, 확산강조 MRI 25명으로 확산강조 MRI가 월등하게 높았다. 발견된 암은 모두 전이가 없는 초기 암으로, 평균 크기는 1cm 정도였다.

 하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확산강조 MRI를 유방암 진단에 있어 독립적 영상 검사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의미 부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방암 연구와 치료'(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최신호에 게재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