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치료 '게임 체인저' 시신경 줄기세포 찾아냈다

시신경 세포에 '성장 인자' 다량 공급…출생 때부터 수십 년 기능
미 메릴랜드 의대 연구진, 국립과학원회보에 논문

 녹내장은, 시신경 장애가 시야 결손으로 이어져 결국 시력을 상실하는 무서운 병이다.

 시신경이 심하게 손상되면 물체를 시각적으로 알아볼 수 없게 된다. 눈을 통과한 빛에 관한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게 바로 시신경이다.

 시신경이 왜 손상되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안압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 압박과 시신경 혈류 장애 등을 손상의 주원인으로 꼽는다.

 그런데 녹내장과 같은 시신경 손상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게임 체인저'가 될 시신경 줄기세포를 미국 메릴랜드 의대 과학자들이 발견했다.

 실제로 이 줄기세포가 없으면 시신경 섬유의 스트레스 내성이 약해져 시신경이 손상되고 녹내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

 이 연구는 메릴랜드 의대의 스티븐 번스타인 안과 교수팀이 수행했고, 관련 논문은 30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됐다.

 이 발견은 녹내장 등의 치료 개선은 물론이고, 녹내장의 원인에 관한 이론을 새로 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기대한다.

 번스타인 교수는 "시신경에서 신경 전구세포가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이 줄기세포가 없으면 시신경은 녹내장 등으로 생긴 손상을 스스로 복구할 수 없어 영구적인 시력 상실이나 장애로 이어진다"라고 말했다.

정상 시신경(좌)과 녹내장 시신경

 연구팀이 줄기세포를 발견한 곳은, 폭이 1㎜도 안 되는 망막과 시신경 사이의 신경 막이다. 망막에서 나온 장방형 신경세포 섬유는 이 신경 막을 통해 시신경까지 뻗어 있다.

 이 신경 막의 전구세포가, 눈과 뇌 사이의 신경 연결을 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줄기세포는 신경 연결에 성장 인자를 듬뿍 공급해, 안전하게 신경 섬유를 감싸는 일종의 '보호 피복(insulating sheath)' 형성을 도왔다.

 실험실 환경에서 이 줄기세포를 길러내는 건 쉽지 않았다.

 무엇보다 성장 인자의 혼합 비율 등 줄기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유도하는 최적의 조건을 확인하는 게 까다로웠다.

 연구팀은 52회의 도전 끝에 신경 막 전구세포 배양에 성공했다.

 이렇게 얻은 전구세포는 몇몇 유형의 신경 세포로 분화했는데, 시신경 세포의 복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교세포도 여기에 포함됐다.

 연구팀의 다음 목표는 시신경 전구세포의 복구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것이다.

 번스타인 교수는 "일단, 이 줄기세포가 분비하는 핵심 성장 인자만 확인해도, 녹내장과 다른 노화 관련 시력 이상의 진행을 늦추는 칵테일(복합 약물)에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에는 시신경 손상으로 인한 녹내장 환자가 300만 명을 웃돈다고 한다. 이 가운데 약 4%인 12만 명이 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