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침투한 세균, 감염과정에서 독소 분비해 면역세포 우회공격

호주 모내시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미생물학'에 논문

 우리 몸에 침투한 병원성 박테리아(세균)는 독소(endotoxins)를 분비해 면역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졌다.

 과학자들은 박테리아의 독소가 염증 반응을 일으켜 면역세포의 예정사(programmed cell death)를 유도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런데 세균 독소가 직접 면역세포를 공격해 자멸사로 내모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호주 모내시대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박테리아는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표적으로 별도의 독소를 분비했고, 이런 독소 공격으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면역세포가 이를 감지해 자멸사의 길로 갔다.

 병원성 세균은 감염이 진행되는 동안 미토콘드리아를 공격하는 균체 내 독소를 외막 소포(outer membrane vesicles)에 실어 내보냈다.

 그러면 이 독소는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이상을 일으켜 면역세포의 자멸사 유도 물질을 활성화했다.

 세균 독소가 곧바로 면역세포를 죽이진 않지만, 우회적으로 면역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셈이다.

 이 발견은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박테리아의 교묘한 면역 반응 회피 전략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우선 세균의 미토콘드리아 공격을 차단하는 약물 개발이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거로 보인다.

 아울러 지속적인 면역 반응과 염증, 그리고 이에 따른 세균 감염성 조직 손상을 예방하는 실마리가 될 수도 있다.

 이번에 실험한 세균 중에는 병원 내 감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다제내성(multi-drug resistant) 녹농균도 포함돼 있다.

 연구팀은 이번에 녹농균과 요로 병원성 대장균, 임균 등 3개 종만 실험했다. 하지만 다른 세균에 실험해도 똑같은 결과가 나올 거로 과학자들은 예상한다.

 네이더러 박사는 "그동안 균체 내 독소의 면역세포 파괴를 차단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뤄졌다"라면서 "그런데 이제 더 중요할지도 모른 다른 독소로 초점이 옮겨졌다"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임상용 치료제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미 개발된 항암제 등을 세균 감염 치료제로 용도 변경할 수 있는지 타진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