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치의 다발성 경화증, 찻잎에서 치료 실마리 찾았다

쓴맛 내는 테오필린, '신경 피복' 미엘린초 복구 효과 확인
독일·스위스 연구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논문

 신경세포(뉴런)의 축삭돌기(Axon)는 전선의 피복처럼 아교세포가 감싸고 있다.

 이렇게 여러 겹으로 축삭돌기를 둘러싼 구조를 미엘린 초(Myelin sheath)라고 한다.

 축삭돌기의 둔덕에서 생성된 활동전위가 신경 말단까지 전달될 때 미엘린 초는 일종의 절연체 같은 기능을 한다. 미엘린이 초가 손상되면 연쇄적인 활동전위(신경 신호) 전파에 문제가 생긴다.

 팔·다리 부상으로 말초 신경계가 손상돼도 엑손과 미엘린 초는 비교적 잘 복구된다.

 그런데 찻잎에 함유된 테오필린(Theophylline) 성분이 말초신경과 중추신경 모두에서 미엘린 초의 재건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는 독일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마인츠대와 스위스 프리부르대 연구진이 공동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24일(현지시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실렸다.

생쥐 척수의 미엘린 초

 테오필린은 카페인, 테오브로마인 등과 함께 찻잎에 들어 있는 퓨린 염기의 하나다.

 쓴맛을 내는 테오필린은 각성, 이뇨, 흥분 등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예부터 천식을 다스리는 데 쓰였다.

 연구팀은 활성 상태의 eEF1A1 단백질이 중추신경의 미엘린 초 재건을 방해한다는 걸 알아냈다.

 그런데 아세틸기(基)가 떨어져 eEF1A1이 비활성 상태로 돌려지면 다시 미엘린 수초가 복구됐다.

 결국 eEF1A1에서 아세틸기를 떼어내는 게 HDAC2라는 효소이고, HDAC2의 활성도를 높이는 게 테오필린이었다.

 미엘린 초를 복구하는 순환 고리의 맥을 테오필린이 쥐고 있는 셈이다.

 생쥐 모델에 저용량 테오필린을 나흘간 투여하자 말초 신경의 미엘린 초는 완전히 복구됐고, 중추신경의 수초 복구도 전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중추 신경과 말초 신경 양쪽 모두에서 테오필린이 미엘린 초 복구의 속도와 효율을 높인다는 게 결론"이라면서 "다발성 경화증이나 외상 병소의 수초 복구를 촉진하는 유망합성물로 테오필린이 부상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임상 자금 펀딩과 특허 출원을 준비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