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형 당뇨병에 또 희소식…"신경 신호 막으면 효과 있다"

'췌장 신경 신호 차단→베타 세포 사멸 방지' 경로 확인
미국 라호야 면역학 연구소,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논문

 제1형 당뇨병은 면역세포가 췌장의 베타세포를 훼손해 생기는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이다.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세포가 이렇게 불가역적으로 손상되면 인슐린 분비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진다.

 그래서 고혈당에 시달리는 1형 당뇨병 환자가 생명을 유지하려면 평생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사실상 불치병인 1형 당뇨병 치료에 돌파구가 될 만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를 수행한 미국 라호야 면역학 연구소(LJI)의 마티아스 폰 헤라트 교수팀은 최근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관련 논문을 공개했다.

 27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올라온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1형 당뇨병을 유발하는 베타세포 손상은 아주 특이한 패턴으로 나타난다.

 다른 곳은 멀쩡한데 면역세포 공격으로 죽은 베타세포만 마치 누더기를 기운 듯한 '패치 패턴'(patchy pattern)을 남긴다.

 1형 당뇨병의 패치 패턴은 관절염, 백반증 등 다른 자가면역 질환에서도 발견된다.

면역세포 공격

 베타세포가 남긴 이 죽음의 흔적이 이번 연구의 물꼬를 트는 실마리가 됐다.

 연구팀은 여기에 신경 신호가 관여한 것으로 보고, 생쥐 모델에 신경 신호 차단 실험을 했다.

 췌장으로 가는 신경 신호를 대부분 차단한 생쥐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죽지 않았고, 1형 당뇨병 증상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신경을 전혀 차단하지 않거나 베타 세포로 가는 신경만 차단한 생쥐는 베타세포의 괴사를 피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신경 신호 차단으로 베타 세포 괴사를 막는 치료법을 임상 시험까지 갖고 가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거로 본다.

 그 전에 1형 당뇨병 위험이 확인된 환자는, 이미 개발된 신경 차단제나 전기자극 차단법 등의 사용을 검토할 만하다고 연구팀은 제안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