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 급성심부전증 환자 좌심실 인공장치 이식 성공

김계훈·김형윤·정인석·이교선 교수 심장이식팀 호남 최초 수술

 전남대학교병원이 급성 심부전증 환자에게 좌심실 보조장치(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이하 LVAD)를 이식하는 수술에 성공했다.

 전남대병원은 순환기내과 김계훈·김형윤 교수와 흉부외과 정인석·이교선 교수 등이 참여한 심장이식팀에서 지난달 8일 60대 급성심부전증 환자 A씨에게 LVAD 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A씨는 한때 생명이 위독했으나 현재 특별한 후유증 없이 재활 치료를 받으며 건강을 회복하고 있다.

 A씨는 지난해 10월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응급실을 찾았다.

 당시 관상동맥 폐색으로 심장 기능이 급격히 떨어져 도착하자마자 심정지를 일으켰으며 에크모(체외막형산화기·체외막 산소요법) 치료와 응급 심혈관 중재술을 받았다.

 이후 치료 중 심정지가 두 차례 더 발생하고 심장 기능 회복이 어려운 상황까지 이르게 됐다.

 이에 심장이식을 고려했던 의료진은 환자의 체력이 저하된데다 감염 위험성으로 인해 면역 억제를 해야 하는 심장이식은 어렵다고 판단해 6시간 40분에 걸쳐 LVAD 이식수술을 시행했다.

 해당 수술은 심장의 펌프 기능을 대신하는 체내 삽입형 인공 펌프인 LVAD를 좌심실에 설치하는 수술로, 심장 이식수술 대기자 또는 이식이 필요하지만 면역억제제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시행하는 고난도의 수술이다.

 좌심실은 몸 전체에 피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좌심실 끝부분에 구멍을 내고 LVAD 기기를 삽입해 혈액을 흡입하게 한 뒤 이 혈액을 다시 펌프를 통해 대동맥으로 보내줘 궁극적으로 좌심실 기능을 보조하게 된다.

 전남대병원 관계자는 "2018년 3월 광주·전남 최초로 심장이식 수술을 한 데 이어 호남에서 처음으로 좌심실 보조장치 이식 수술에 성공했다"며 "지역에서 심장이식 수술을 기다리거나 이식이 어려운 말기심부전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