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로 옮긴 유방암, '지방 대사'에 치료 표적 있다"

뇌 환경서 지방 조달 제한→살아남으려면 더 많이 만들어야
지방산 합성 억제제, 유방암 환자에 시험 중…저널 '네이처 캔서' 논문

 유방암에서 떨어져 나온 암세포 무리가 뇌로 전이해 살아남으려면 스스로 지방산 합성을 늘려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로 옮겨간 유방암 세포는 낯선 환경에서 주변의 지방과 잘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발견은 뇌 전이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어 주목된다.

 이 연구는 미국 하버드 의대의 최대 수련병원인 MGH(매사추세츠 제너럴 호스피털)과 MIT(매사추세츠 공대) 제휴 기관인 코흐 통합 암연구소 과학자들이 공동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1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 캔서(Nature Cancer)'에 실렸다.

 종양에서 HER 2(인간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2)가 발현하는 유방암 환자에 대한 항암 치료는 HER 2 표적 치료가 등장하면서 완전히 달라졌다.

 하지만 이 유형의 유방암이 뇌로 전이하면 훨씬 더 치명적인 암으로 변한다.

 다른 부위의 암에 효과를 보이던 항암 치료법도 뇌로 옮겨간 유방암 세포엔 잘 듣지 않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부분적 원인으로 뇌의 혈뇌 장벽(blood-brain barrier)을 지목한다.

 혈뇌 장벽은 혈액에 섞여 몸 안을 도는 병원체나 독성 물질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지만 치료 약물의 투입도 어렵게 만든다.

 유방의 종양에서 이탈한 암세포가 뇌에 도달하면 항암 치료에 저항하는 어떤 변화가 생길 거라는 가설도 유력하다.

 암세포 입장에서 뇌의 영양분 유용성(nutrient availability)이 다른 신체 부위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뇌로 전이한 유방암 세포가 계속 성장하고 살아남으려면 대사 물질과 방법을 바꿔야 할 거라는 추론도 이런 맥락에서 나왔다.

 MGH·MIT 연구팀은 유방암 세포가 뇌와 다른 부위로 각각 전이했을 때 에너지 대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생쥐 모델에 실험했다.

 뇌로 전이한 유방암 세포는 성장의 에너지원으로 쓸 지방에 잘 접근하지 못했다.

 뇌의 낯선 환경이 새로 전이한 암세포의 지방 유용성을 떨어뜨린 것이다.

그 결과 지방산 합성 효소가 활성화되면서 암세포의 지방산 합성이 대폭 증가했다.

 암이 다른 기관으로 전이하면 해당 기관의 영양분 유용성을 고려해 치료 전략을 짜야 한다는 걸 시사한다.

 암세포가 옮겨간 부위에서 영양분을 제대로 대사하지 못하면 더 성장하지 못해 결국 죽게 된다는 것이다.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MGH의 라케쉬 K.자인 종양 생물학 교수는 "지금까지 표적 항암 치료는 주로 암세포의 유전적 약점에 초점을 맞췄다"라면서 "이번 연구 결과를 보면, 암세포가 살아가는 환경에서 생기는 물질대사 측면의 약점도 치료 전략에 반영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연구팀은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TVB 2166이라는 지방산 합성 억제제를 테스트하고 있다고 논문에서 밝혔다.

 이 합성 약물은 혈뇌 장벽을 통과하지 못해 뇌 전이 증상을 보이는 환자는 제외됐다고 한다.

 코흐 연구소 부소장으로서 공동 교신저자를 맡은 매슈 밴더 헤이든 박사는 "뇌에 전이한 환자에게 이 전략을 쓰려면, 뇌에 투과하는 지방산 합성 억제제로 효능과 안전성을 더 연구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