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17일 조간)

▲ 경향신문 = "국정 방향 옳았다"는 윤 대통령, 그대로 간다

▲ 국민일보 = "국민 뜻 못 살펴 죄송 더 낮은 자세로 소통"

▲ 매일일보 = 윤석열 '3대개혁' 사실상 물건너간다

▲ 아시아투데이 = 소통 강조한 尹 "저부터 민심 경청"

▲ 일간투데이 = 尹대통령 "저부터 민심 경청"

▲ 조선일보 = 서울대병원 산과 전임의 代 끊겼다

▲ 중앙일보 = 윤 대통령 '그러나·하지만' 15번 4시간 뒤 "국민 뜻 못살펴 죄송"

▲ 한겨레 = 민심의 경고에도…윤 대통령 "국정 방향은 옳다"

▲ 한국일보 = 尹 "국민 체감 변화 부족" 성찰 없는 반성문

▲ 글로벌이코노믹 = 환율 급등, 주가는 급락 '한국경제 비상'

▲ 대한경제 = 코스피 2600 위협 환율 장중 1400원

▲ 디지털타임스 = 환율 1400원… 외국인 엑소더스

▲ 매일경제 = 불붙은 美금리, 증시·환율 폭격

▲ 브릿지경제 = 검은 화요일

▲ 서울경제 = '워크아웃' 태영, 대주주 지분율 되레 2배

▲ 아시아타임즈 = 환율·중동 겹악재…코스피 2%대 급락

▲ 아주경제 = 삼성, 텍사스에 첫 공장 왜?… 현지 파트너·고객사와 긴밀협력 노렸다

▲ 에너지경제 = 尹 대국민 사과… "국민 뜻 못 받들어 죄송"

▲ 울산경제 = '울산고속도로 도심 지하화' 정부 '협의 테이블' 올랐다

▲ 이데일리 = 1400원 뚫린 환율… 韓경제 초비상

▲ 이투데이 = 미 금리인상說 '솔솔' 환율 1400원 찍었다

▲ 전자신문 = 中, 5G-A 세계 1위 韓, 통신선도국 위태

▲ 파이낸셜뉴스 = 美금리·중동戰 겹악재…환율 1400원 위협

▲ 한국경제 = 환율, 어느새 1400원 … 경제 '시계제로'

▲ 전국매일 = 벌써 10년… 갈길 먼 '안전한 대한민국'

▲ 경기신문 = "10년 지나도 잊지 못할 아픔… '기억의 끈' 절대 놓지 않겠습니다"

▲ 경기일보 = 27개월여 만에 복원된 양평 배다리

▲ 경인일보 = 143가구 평균 전세가율 96.2%… 수원 사기일당 '깡통' 양산

▲ 기호일보 = 인천 도시철 노선 추가 경제성 낮아 아직은 '빨간불'

▲ 신아일보 = 여당 총선 참패에 힘 빠진 메가 서울

▲ 인천일보 = 같은 듯 다른 공약, 다른 듯 같은 호흡 절실

▲ 일간경기 = 김동연 "윤 정부 미래, 박 정부의 최후"

▲ 중부일보 = '강동하남남양주선' 3조 든다

▲ 현대일보 = 인천시, '교통현안 해결' 발로 뛴다

▲ 강원도민일보 = '혁신도시 시즌2' 강원 유치 안갯속

▲ 강원일보 = '70년 희생' 접경·폐광지 6조원 보상 요구

▲ 경남도민신문 = 경남 4개 대학, 글로컬대 예비 지정…전국 최다

▲ 경남도민일보 = "과일값 뛴다고 수입 늘리다가는 국내 농업 무너져"

▲ 경남매일 = 경남 4개 대학, 글로컬대 예비 지정

▲ 경남신문 = 경남 4개교 '2024 글로컬대학' 예비 지정… 전국 최다

▲ 경남일보 = 2024 글로컬대학 경남 4개 대학 예비지정

▲ 경북매일 = "국민 뜻 받들지 못해 죄송" 尹대통령 '총선 참패' 사과

▲ 경북신문 = 랴오닝성, 경북도 여섯번째 中 친구 됐다… 우호교류 협정

▲ 경북일보 = "경북시대 SOC사업 국비 투자 절실"

▲ 경상일보 = 확 풀린 GB규제…울산 수혜 기대감

▲ 국제신문 = 尹 "민심 겸허히 수용… 하지만 국정방향은 옳았다"

▲ 대경일보 = 道, 교통분야 SOC 5550억 국비 요청

▲ 대구신문 = 대구·경북 6개大 '글로컬대' 예비지정

▲ 대구일보 = 대구시, 추경안 5천237억 증액 11조1천억 편성

▲ 매일신문 = 민심에 몸 낮춘 尹

▲ 부산일보 = 모듈러 교실 '새집 증후군', 아이들이 병든다

▲ 영남일보 = 중동發 악재에 짙어지는 '3高' 먹구름

▲ 울산매일 = 울산과학대-연암공대 '예비 글로컬대학' 지정

▲ 울산신문 = 지역전략산업 우선순위 검토작업 착수

▲ 울산제일일보 = "함께 하는 길, 평등으로 향하는 길"

▲ 창원일보 = 장애인 세상보기 첫번째 여행은 "'거제 감동 7코스'로 다녀왔어요"

▲ 광남일보 = "전남의대 신설" 도민 염원 담은 한목소리 절실

▲ 광주매일 = 사회적거리두기 해제 2년…확 바뀐 광주 창업생태계

▲ 광주일보 = 전남대·목포대 '5년간 1천억' 글로컬대 예비 지정

▲ 남도일보 = "10년간 안전한 사회 외쳤지만 참사 반복만…"

▲ 전남매일 = "세월 흘러도 그리움은 여전"…눈물의 선상 추모식

▲ 전라일보 = 온전한 전북 몫 찾기 정치권 역할론 부상

▲ 전북도민일보 = 원광대+원광보건대 글로컬30 예비 지정

▲ 전북일보 = 지역 거대 담론 '실종' 전북 발전 미래 '암울'

▲ 금강일보 = 대전권 대학, 글로컬大 2기 예비지정 '기사회생'

▲ 대전일보 = 대전·충남 6개교 글로컬대 예비지정… 지역·대학 혁신 속도

▲ 동양일보 = 글로컬대 예비지정 충청권 희비 엇갈려

▲ 중도일보 = 내륙지역 균형발전 필수… "공약 이행 협치 중요해"

▲ 중부매일 = 대전·충남 6곳 선정 충북지역 모두 탈락

▲ 충남일보 = 학생 줄고 임용 감축에 비전공과목 가르치는 선생님들

▲ 충청신문 = "돈 없으면 취업 못해"

▲ 충청일보 = 튤립의 화려한 유혹

▲ 충청투데이 = 지역대학이 만드는 色다른 지역 맞춤 사업 내년부터 나온다

▲ 뉴제주일보 = 최대 난제 '제2공항' 무공약 의료 안심 실현엔 묘수 절실

▲ 제민일보 = 버스 감차 안되면 민영화 '초강수'

▲ 제주매일 = 소득 작물로 주목받던 딸기, 고령화·인력난에 '주춤'

▲ 제주일보 = "버스 준공영제 개선 위해 버스 감차에 동의 안하면 지원 축소, 민영화도 검토한다"

▲ 한라일보 = 관광객 감소에 '환경보전분담금' 숨고르기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위고비 오남용 관리·감시…복지신청주의 개선안 마련"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복지 신청주의' 개선 필요성에 공감하며 법 개정을 포함한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15일 복지부에 대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희승 의원으로부터 부양의무제와 복지 신청주의가 복지 사각지대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취지의 질문을 받자 이같이 답했다. 정 장관은 "전반적으로 (복지) 신청주의를 개선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포함한 제도 개선방안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또 "의료급여의 경우 부양비를 폐지하고, 부양의무자 조사에 대해서는 생계급여 방식 정도로 간소화해서 추진할 계획"이라며 "생계급여의 부양의무자는 근로 능력이 취약한 노인이나 장애인부터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창고형 약국' 등장으로 의약품 유통 질서가 저해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정 장관은 "전체적인 의약품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 면밀하게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며 공감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최고·최대 마트형 특가'와 같은 불필요하게 소비자를 오도하는 광고를 못 하도록 시행규칙을 개정하려고 준비 중"이라며 "전체 의약품 유통 질서에 미치는 영향과 의약품에 대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최만순의 약이 되는 K-푸드…가을의 기억, 삶을 위로하는 고구마
가을은 대지의 품이 가장 넉넉해지는 계절이다. 이 계절의 중심에는 한없이 소박하고, 기적처럼 사람을 살려낸 생명의 작물, 고구마가 있다. 바람이 선선해질 무렵, 뜨거운 아궁이에서 퍼져 나오던 군고구마의 구수한 향기는 세월이라는 강을 건너 우리의 마음에 남아 있다. 고구마 한 입엔 배불림 이상의 정서와, 견디며 살아남은 우리네 선조의 치유와 희망이 고스란히 스며 있다. 고구마는 원래 중남미 안데스 지역이 고향이다. 잉카 문명 이전부터 토착민이 경작했고, 신대륙의 발견 이후 콜럼버스의 항로를 따라 유럽을 거쳐 동아시아로 전파됐다. 중국에는 16~17세기 이미 전래해 '감서'(甘薯), 일본에는 17~18세기 '사쓰마이모'(薩摩芋)가 됐고, 한국에는 조선 후기 문신 조엄(1719~1777)이 1764년 통신사로 일본에 갔다가 종자를 들여와 부산과 제주, 남해에 심으면서 본격적으로 뿌리내렸다. 그때까지 한반도는 반복되는 흉년과 춘궁(春窮)으로 백성들이 늘 굶주림에 시달렸고, 쌀과 보리를 대체할 만한 구황작물의 절실함이 있었다. 고구마는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고, 조리와 보관이 쉽고, 영양 또한 풍부해 흉년마다 조선의 백성을 구했다. 영도 동삼동, 제주 한림, 탐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