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인구도 고령화 심화…등록 장애인 2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복지부, '2020년도 등록장애인 현황' 발표…전체 인구대비 5.1%
청각·발달장애 증가 추이…작년 한 해 동안 8만3천명 신규 등록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인 가운데 장애인의 고령화 역시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장애인의 날'(4월 20일)을 앞두고 작년 한 해 등록 장애인의 장애 유형, 장애 정도,  연령 등 주요 지표를 정리한 '2020년도 등록 장애인 현황'을 19일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등록 장애인은 263만3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5.1% 수준을 나타냈다.

 직전 해인 2019년 말 기준(약 261만8천명)과 비교하면 약 1만4천명 증가한 것이다.

 연령별로 나눠보면 60대가 60만2천명(22.9%)으로 가장 많았고 70대(58만5천명·22.2%)가 뒤를 이었다.

 전체 인구 대비 장애인 등록 비율 역시 60대 8.9%, 70대 15.8%, 80대 이상 22% 등 고령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 등록 장애인이 152만명(57.8%)으로 여성 장애인 111만명(42.2%)보다 많았다.

 장애 유형별 비율을 보면 지체(45.8%), 청각(15%), 시각(9.6%), 뇌 병변(9.5%) 등의 순서로 높았다. 비율이 낮은 장애 유형으로는 안면(0.1%), 심장(0.2%) 장애 등이었다.

 장애 정도로 분류해보면 심한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이 98만5천명(37.4%), 심하지 않은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164만8천명(62.6%)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57만명(21.6%)으로 가장 많았고, 세종은 1만2천명(0.5%)으로 가장 적었다.

 등록 장애인 숫자는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인구 대비 비율은 5%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복지부는 "등록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확대, 등록 제도에 대한 인식 개선 등에 따라 등록 장애인의 숫자는 2003년 이후 꾸준히 증가했으나 2010년부터는 인구 대비 5% 정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장애 인구의 고령화는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등록 장애인의 연도별 증감 추이를 보면 65세 이상 노년층 장애인은 2010년 37.1%였지만 2020년에는 49.9%로 올라섰다. 전체 등록 장애인 2명 중 1명꼴로 고령층이라는 의미이다.

 노년층 장애인의 장애 유형은 지체(47.9%), 청각(23.5%), 뇌 병변(10.8%), 시각(10.1%) 등의 순으로 많았다.

 지난 10년간의 변화를 보면 지체장애는 2010년 53.1%에서 2020년 45.8%로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청각장애(10.4%→15.0%), 발달장애(7.0%→9.4%) 등은 증가 흐름을 나타냈다.

 작년 한 해 동안 새로이 등록한 장애인은 총 8만3천명으로, 이 중 65세 이상 비율은 55.1%에 달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장애인의 특성과 장애 유형 간의 형평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장애 인정기준 개선 등 장애인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 시범사업 추진…"24시간 의료지원"
보건복지부는 고령·중증 장애인에 24시간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은 고령화 및 중증화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에게 24시간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거주시설을 칭한다. 현행 장애인거주시설 기준으로는 24시간 집중 지원이 필요한 장애인에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복지부는 인력·설비 기준을 달리한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 모델을 새롭게 마련해 시범사업에 나섰다.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은 간호사 등 돌봄인력을 추가 배치해야 하고 중증 장애인에 24시간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시설과 장비를 갖춰야 한다. 시범사업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시도 광역자치단체는 관내 장애인거주시설 중 시범사업에 참여할 시설을 선정한 후 신청서와 사업계획서 등을 작성해 다음 달 11일까지 복지부에 신청하면 된다. 복지부는 시범사업 대상 지역 1곳을 선정해 간호사 및 돌봄 인력 추가 배치를 위한 인건비, 시설 리모델링 및 의료 장비 등을 지원한다. 선정된 지역은 인력과 설비 등을 갖추고 이르면 올해 12월 의료집중형 장애인 거주시설을 개소할 예정이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임신 중 초미세먼지 노출 시 태반 손상·태아에 악영향"
임신 중 초미세먼지(PM2.5)에 노출되면 태반의 미세구조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태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김영주 교수 연구팀은 2020∼2023년 사이 임신부 약 900명을 임신 중 PM2.5 노출 수준에 따라 고노출군(15μg/m³초과)과 저노출군(15μg/m³이하)으로 나눠, 이들의 태반 조직을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태반을 정밀 분석한 결과, 초미세먼지 고노출군에서는 태반의 융모막세포 영역에서 미세융모의 소실·단축 등 심각한 구조적 변화가 발견됐다. 초미세먼지 고노출군에서는 태아의 모세혈관 내 미토콘드리아의 이중막 구조 손상도 나타났다. 또 이들의 혈액 내 산화스트레스 지표를 분석하자 산화에 의한 손상을 나타내는 물질인 말론디알데히드(MDA) 수치가 증가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초미세먼지로 인한 산화스트레스가 태반 손상의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을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임신 중 초미세먼지 노출은 호흡기뿐만 아니라 태반의 기능적 손상을 일으켜 태아 발달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연구팀은 결론 내렸다. 김 교수는 "초미세먼지가 태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