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타과 동물 특수 항체 '나노바디' 신종 코로나 중화…분리 성공

호주 WEHI 연구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에 논문

 낙타, 알파카, 라마 등의 낙타과 동물은 병원균에 대해 강한 면역력을 보인다.

 그 이유는 '나노바디(Nanobodies)'라는 특수 항체를 몸 안에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 항체의 10분의 1 크기인 나노바디는 항원 접근성이 뛰어나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 나노바디는 낙타과 동물에서 발견되는 단일 사슬 항체의 항원 인식 가변 부위를 분리해서 만든다.

 생분해가 가능한 인공 나노바디는 이미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제 개발 등에 널리 쓰인다.

 호주 WEHI(Walter and Eliza Hall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 과학자들이 알파카의 나노바디를 이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대해 중화 능력을 보이는 나노바디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나노바디가 신종 코로나의 숙주세포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걸 전임상 동물실험에서 확인했다.

 이 나노바디는 신종 코로나 외에 변이 코로나와 사스(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도 식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HI의 와이-홍 탐(Wai-Hong Tham) 부교수 연구팀은 최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감염 조직에서 분리한 신종 코로나 입자(오렌지색)

 27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호주 빅토리아주에 서식하는 알파카 무리를 실험 모델로 삼아, 신종 코로나를 중화하는 나노바디를 생성하게 면역 반응을 유도했다.

 면역 항원으론 스파이크 단백질의 비 감염 부위를 합성해 썼다.

 연구팀은 이어 알파카의 유전체에서 나노바디 생성 정보를 가진 유전자 서열을 분리했다.

 이 염기서열을 이용해 수백만 개 유형의 나노바디를 실험실에서 만든 뒤 스파이크 단백질과 잘  결합하는 것들만 골라냈다.

 그런 다음 결합력이 가장 뛰어난 나노바디 2종을 섞은 '나노바디 칵테일'로 동물 실험을 했다.

 이 나노바디 칵테일은 신종 코로나의 숙주세포 진입을 차단할 뿐 아니라 바이러스 로드(loads: 입자 수)도 낮췄다.

 연구팀은 또 극저온 전자현미경(Cryo-EM)으로 나노바디와 스파이크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거의 원자 수준에 가깝게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신종 코로나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나노바디도 찾아냈다.

 이 나노바디는 빠르게 확산 중인 변이 코로나와 신종 코로나의 원조 격인 사스 코로나도 식별했다.

 이 나노바디가 신종 코로나와 사스 코로나에 대해 교차 면역을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탐 교수는 "인간에 감염하는 신종 코로나와 사스, 메르스 등에 결합하는 나노바디는 미래에 나타날 코로나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신종 코로나에 대해 중화 능력을 보이는 인공 나노바디를 개발한 게 처음은 아니다. 일례로 영국 옥스퍼드대, 레딩대 등의 공동 연구진은 지난해 7월 라마의 혈액에서 분리한 나노바디를 조합해 신종 코로나 중화 나노바디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인공 나노바디를 신종 코로나에 적용해 스파이크 단백질의 세포 수용체 결합을 막는 데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 논문은 '네이처 구조 분자 생물학(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