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위암 환자 수술별 예후 비교…"로봇수술 생존율 가장 높아"

진행성 위암 환자 대상 로봇·복강경·개복 수술 비교 결과 발표

 비만 위암 환자의 예후를 수술 방식별로 비교한 결과 로봇 수술을 했을 때의 생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세암병원 위장관외과 김형일 교수와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외과 최서희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비만의 진행성 위암 환자 185명을 대상으로 로봇 수술과 복강경 수술, 개복 수술 등의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종양외과학회 학술지 종양외과학 회보(Annals of Surgical 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그동안 위암 환자에 로봇 수술을 하면 복강경 수술보다 출혈은 적고 더 많은 수의 림프절 절제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개복과 복강경, 로봇 수술 등 세 가지 수술 방법에 따른 초기 수술 결과나 생존율을 모두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으로 비만한 진행성 위암 환자 중에서 위와 주위의 림프절까지 절제해야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로봇수술(54명)과 복강경수술(62명), 개복수술(69명)에 따른 장단기 생존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군의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이 복강경 수술군이나 개복 수술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은 각각 89.3%와 86%였다.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은 83%와 82.2%, 개복수술을 받은 환자는 72.2%와 59.4%로 확인됐다.

 특히 로봇수술에서는 병이 상당히 진행된 3기 암이 더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차이라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재발률에서도 차이가 났다. 조사 기간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군에서는 11.1%에서 암이 재발했지만, 복강경수술의 경우 16.1%, 개복수술은 37.7%에서 재발했다.

 실제 절제한 림프절 개수도 로봇수술 군에 많았다. 로봇수술의 경우 림프절 절제 개수가 54.5개에 달했으나 복강경수술에서는 38개, 개복수술은 44개였다.

 김 교수는 "재발 없는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로봇 수술이 중요한 인자로 확인됐다"며 "손목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거나 떨림을 보정하는 로봇의 기능이 안정적인 수술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복부지방으로 인해 수술이 어려운 비만의 위암 환자에서 더 좋은 결과와 예후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PA 시행규칙에 거듭 반대…"신고제 교육, 안전 담보 못해"
오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대한간호협회(간협)가 하위법령인 진료지원(PA) 업무 수행 규칙에 대한 반대 의사를 거듭 밝혔다. 간협은 2일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2차 집회를 열고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을 '신고제'로 하겠다는 정부의 주장은 안전과 숙련도를 담보할 수 없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고제 교육에는 표준 교육 방식이 없다"며 "수천 개의 교육기관에서 수만 명의 진료지원 간호사가 수백 가지 방법으로 교육돼 배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진료지원 업무의 질을 유지하고 관리 감독할 체계적인 콘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며 "의료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공신력 있는 자격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 전국에서 1만여 명의 간호사가 참여했다. 간호사들은 '교육 이수증 찢기' 등의 퍼포먼스를 했다. 정부 안에 따르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이론 및 실기교육, 소속 의료기관에서의 현장실습으로 구성된다. 교육기관은 간협과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 유관 협회,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공공보건의료 지원센터, 그밖에 복지부 장관이 전담간호사 교육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고지방 식단, 비만뿐 아니라 불안·인지장애 위험도 높여"
고지방 식단으로 인해 유발된 비만이 뇌 신호와 장내 미생물군에 변화를 일으켜 불안증과 인지장애 위험도 높일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아주립대 데지리 원더스 교수팀은 2일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영양학회(ASN) 학술대회(NUTRITION 2025)에서 생쥐에게 15주 동안 고지방 먹이와 저지방 먹이를 먹이며 변화를 관찰한 실험에서 고지방 먹이로 인한 비만과 불안증 및 인지장애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먹이로 인한 비만과 불안 증상, 뇌신호 변화, 뇌기능 손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내 미생물 변화 등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다며 이는 비만과 불안증이 장과 뇌의 상호작용으로 연결돼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원더스 교수는 "여러 연구가 비만과 불안의 연관성을 시사해 왔지만 비만이 불안을 직접 유발하는지 또는 그 연관성이 (비만에 대한) 사회적 압박의 영향인지 등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비만이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뇌 건강에 미지는 잠재적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비만과 인지 기능 및 불안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