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이용한 희귀·난치질환 치료법 모색

과기정통부, 난치질환 치료 방사선 기술 전문가 간담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일 방사선 기술로 희귀·난치질환 치료법을 모색하는 전문가 온라인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과기정통부 용홍택 제1차관, 한국연구재단 강보선 원자력사업단장 등 산학연 전문가 7명이 참석했다.

 방사선 기술은 ▲ 정밀 분자변환·조립을 통한 신약후보 물질 대량 확보 ▲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약물 효능 평가 ▲ 방사성동위원소 직접 이용 암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의료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사선 기술은 암 진단과 치료에 집중돼 있어 희귀·난치성 질환에 방사선을 활용하는 연구는 흔치 않다.

 현재 방사선 기술을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희귀·난치질환은 중증 결핵, 감염성심내막염, 신경내분비암 등이 있다.

 과기정통부는 방사선 기술을 활용하면 중증 결핵의 경우 신약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신경내분비암은 해외에 의존 중인 치료제 국산화를 통해 환자의 치료 비용을 낮출 것이라고 기대 중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방사선 분자변환·조립 기술, 방사성동위원소 약물 효능 평가기술 등이 신약 개발 전주기 과정에 적용되면 혁신 신약 개발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과기정통부가 관련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용 차관은 "산학연이 개발한 기술이 의료 현장에 도입될 때까지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답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미네랄과 금식의 역설
◇ 알려지지 않은 무기질의 위험성 건강한 식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비타민과 미네랄을 꼽는다. 그런데 독자 여러분은 미네랄 중에서도 먹어서는 안 되는 해로운 미네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우선 미네랄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미네랄이라고 하면 대개 미네랄워터를 떠올릴 것이다. 미네랄워터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이 미량 함유된 물을 뜻한다. 그렇다면 미네랄이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을 뜻한다. 그렇다.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물이란 뜻으로 무기질이라고도 한다. 무기물에 대해서는 과학 시간에 배웠을 것이다. 돌이나 흙을 구성하는 광물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양분을 바로 무기물이라고 한다. 미네랄이라고 했을 때는 단순히 몸에 좋은 어떤 물질 같았는데, 그 정의를 파고들다 보니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될 것 같지 않은가? 실제로 그렇다.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미네랄 중에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알루미늄이다. 음료수 캔이나 포일을 만들 때 쓰이는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이다. 알루미늄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알루미늄을 왜 먹느냐고 생각할 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