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이 나쁜 또 다른 이유? 지방조직 대식세포 빨리 늙는다

죽은 지방세포 포식 기능 상실→지방조직 섬유화 등 합병증
미국 보스턴의대 연구진, 저널 '라이프 사이언스 얼라이언스' 논문

 생명체가 성장하면 늙은 세포는 '노화 현상'을 겪기 마련이다.

 노화한 세포는 영구히 분열을 중단한 상태에서도 죽지 않는다.

 그렇다고 노화 세포가 그냥 가만히 있는 건 아니다.

 노화 세포는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전(前) 염증성 인자를 분비한다.

 그런데 비만한 사람은, 지방 조직에 나타나는 대식세포(macrophage)가 더 빨리 노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렇게 노화한 대식세포는 사람에 따라 지방 조직 섬유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이는 곧 비만이 지방 세포의 면역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

 대식세포가 노화할 수 있다는 건 과학자들이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다.

 미국 보스턴의대(BUSM)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8일(현지 시각) 생물 의학 분야의 오픈 액세스 저널인 '라이프 사이언스 얼라이언스'(Life Science Alliance)에 논문으로 실렸다.

 탐식세포라고도 하는 대식세포는 동물의 거의 모든 체내 조직에 분포하는 아메바 모양의 큰 면역세포다.

 이물질, 세균, 바이러스, 노폐세포 등을 포식한 뒤 소화하는 작용을 하며, 여기서 생기는 면역 정보를 림프구에 전달한다.

 물론 대식세포가 지방 조직에서 죽은 지방세포(adipocyte)를 제거하는 건 이로운 기능이며, 새 세포가 생기는 데 도움이 된다.

 여기서 지방세포는 지방의 축적에 특화된 세포를 말한다.

 우리 몸의 지방 조직은 백색과 갈색 두 가지 지방세포로 구성된다.

 백색 지방세포는 하나의 큰 지질 방울 형태를 띠는 불활성 에너지 용기(容器)와 같다.

 이와 달리 갈색 지방세포엔 미토콘드리아와 뒤섞인 여러 개의 작은 지질 방울이 있다.

 갈색 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는 미세 지질 방울을 열과 에너지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대식세포가 노화하면 죽은 지방세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상실한다는 게 이번 연구에서 새로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노화한 대식세포가 다양한 인자(factor)를 분비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 가운데 하나인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이 지방 조직 섬유화의 주범으로 밝혀졌다.

 오스테오폰틴은 골격을 구성하는 주요 인단백질이며, 칼슘 친화성이 높아 석회화 조직의 형성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테오폰틴은 또 T세포나 NK(자연 살해)세포가 활성화할 때 같이 발현하며, 대식세포를 끌어들이는 '양(陽)의 주화성'도 보인다.

 이 연구 결과가 특히 주목되는 건, 살찐 동물이 대식세포의 노화도 빠르다는 걸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렇게 대식세포의 노화가 빨라지면 지방 조직이 병적으로 두꺼워지는 섬유화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비만한 사람이 2형 당뇨병까지 생기면 이런 지방 조직 섬유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이번 연구의 주요 성과는, 비만과 2형 당뇨병 등의 새로운 치료 표적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비만에 대한 지방 조직의 반응을 통제하는 '조절 경로'(regulatory pathways)에 열쇠가 있을 거로 기대한다.

 과학자들은 노화한 대식세포를 직접 표적으로 삼거나 오스테오폰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이 모두 가능할 거로 보고 있다.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나빌 라비 박사는 "이런 접근법은 비만과 2형 당뇨병 등의 합병증 치료에 유망하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다음 팬데믹은 변종 독감"…질병청, 대유행 대응계획 개정 추진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개정 초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심포지엄을 지난 20일 오후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호텔에서 열었다. 이 계획은 매년 발생하는 계절 인플루엔자(독감)가 아닌, 신종 또는 변종에 의한 대유행에 대비한 계획이다. 지난 2006년 제정된 뒤 2011년과 2018년 두차례 개정됐다. 질병청은 코로나19 대유행의 교훈을 반영해 6년 만에 이 계획의 개정을 추진하기로 하고 이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다. 질병청은 개정 목표를 '유행 규모를 최소화하고, 중증화율과 사망률을 줄이는' 쪽으로 잡고 유행 정점기를 최대한 지연시켜 의료체계 내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중증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조기 감시를 통해 유행 발생 전(前) 단계에서 위험신호를 탐지하고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을 판별하는 한편, 백신 개발을 100~200일로 단축하고 '원헬스(사람·동물·환경의 건강을 균형 있게 조정하고 최적화) 전략'을 통해 인수공통감염을 공동감시하는 것을 중점 과제로 잡았다. 세부 계획으로는 ▲ 변이바이러스를 신속히 확인하는 검사법 개발 ▲ 초기 6개월 대응 가능한 치료제·방역물자 사전 비축 ▲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극심한 신경병증성 통증 원인은 별세포 신경전달물질 과분비"
국내 연구진이 경미한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신경병증성 통증이 척수에서 비신경세포인 반응성 별세포(astrocyte)가 신경전달물질 가바(GABA)를 과도하게 생성, 분비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남민호 박사팀은 22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김형일 교수팀과 공동연구로 별세포가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하는 핵심 기전을 새로 규명하고 이를 통한 맞춤형 치료 및 모니터링 표적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옷에 쓸리는 정도의 자극에도 불에 타는 듯한 극심을 통증을 느끼는 경우로,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리고 10명 중 1명이 겪을 정도로 유병률이 높지만,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상황이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척수에서 통증 신호의 전달이 과도하게 민감해지는 '중추 민감화' 현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분자 수준의 원인은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신경병증성 통증 생쥐 모델 실험을 통해 척수에 있는 반응성 별세포가 일반적으로 주변 신경세포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GABA를 과도하게 생성 분비하는 것이 병리의 핵심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별세포에서 GABA가

메디칼산업

더보기
신약 개발·연구 속속 손잡는 제약업계 …"같이 합시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신약 개발 등을 위한 협업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신약 개발 비용 등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각자 확보한 기술 등 장점을 최대한 결합해 개발 비용과 시간은 줄이고 실패 부담도 덜자는 취지에서다.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와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 JW중외제약은 온코크로스의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항암 및 재생 의학 분야 신약의 신규 타깃 질환을 탐색할 계획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의 원료의약품 계열사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신규 항체-약물 접합체(ADC)에 사용되는 '링커' 제조 공정을 공동 연구하고 이를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ADC는 항체와 약물이 링커라는 연결물질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항암제다.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의 ADC 플랫폼에 필요한 링커 일부분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독은 신약 개발 기업 제넥신 및 유전자 교정 기업 툴젠과 차세대 선천 면역 세포치료제를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맺었다. 세 회사는 앞으로 선천 면역 세포 치료제 후보 물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