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나쁨' 주말, 여가 활동 급감...신용카드 매출 분석 결과

 미세먼지가 강하게 몰려오는 날에는 여가·오락 서비스 업종의 매출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카드가 최근 '서울시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오프라인 가맹점 신용·체크카드 매출 분석' 결과 2021년 1∼5월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미세먼지 농도 81㎍/㎥ 이상)인 주말에 실외형 여가·오락 서비스 업종의 매출 건수는 동일 기간 하루평균 대비 12% 감소했다.

 올해 1∼5월의 경우 실외형 여가·오락 서비스 업종의 주말 매출 건수는 22% 줄어 감소 폭이 더 컸다.

 실내형 여가·오락 서비스 업종의 매출 건수도 미세먼지가 '나쁨'인 주말은 평균 대비 감소율이 2021년 1∼5월 13%, 올해 1∼5월 9%로 각각 나타났다.

 한강공원 편의점 매출도 미세먼지의 영향이 컸다.

 미세먼지가 '나쁨'인 주말에 한강공원 편의점의 매출은 2021년 1∼5월 평균 대비 18% 줄었고, 올해 1∼5월은 감소율이 54%나 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말기 진행암 환자의 임종 직전 '광범위 항생제' 사용이 급증하는 경향이 있어 불필요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는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와 이대목동병원 김정한 교수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2002년~2021년 수집된 진행암 환자 51만5천여명의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광범위 항생제 사용 실태를 분석했다. 광범위 항생제는 여러 가지 세균에 효과를 가진 항생제다. 항생제 내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데 강력한 효과 때문에 정상 세균까지 공격할 수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고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진행암 말기 환자는 실제 감염이 없어도 발열이나 염증 수치만으로 광범위 항생제를 처방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내성균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은 물론, 더 고강도 항생제를 써야 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임종 전 6개월간 조사 대상의 절반 이상인 55.9%가 이러한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시기를 ▲ 임종 직전 1주 ▲ 임종 직전 1~2주 ▲ 임종 직전 2주~1개월 ▲ 임종 직전 1개월~3개월 ▲ 임종 직전 3개월~6개월 등 5개 구간으로 나눠 살펴봤더니 광범위 항생제 사용률은 임종 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