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증, 치매 등 가족수발자 상담서비스…만족도 99.5%"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뇌졸중, 치매 등으로 장기요양 등급을 받은 환자를 돌보는 가족수발자에게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한 '가족상담 지원서비스'가 99.5%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건보공단은 지난 2~5월 15주간 부양 부담이 높은 가족수발자 762명에게 개별상담 4천181회, 집단활동 241회의 가족상담지원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99.5%가 만족도를 표시했다.

  또 93.4%는 추천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참여자들의 부양 부담은 상담서비스 제공 전 25.9점에서 후 20.1점으로 낮아졌고, 우울감도 11.7점에서 8.1점으로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재가급여 수급자의 시설입소 현황을 비교한 결과 수발자가 가족상담 지원서비스를 받은 경우 일반 재가 수급자보다 시설입소율이 1.7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를 받은 가족수발자는 환자의 배우자가 76%를 차지했고, 자녀가 17.1%, 며느리 4.7% 순이었다. 평균 나이는 69세로 수발 부담이 큰 '노노(老老)케어'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상담지원서비스는 전국 65개 운영센터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가족수발자는 지역 건보공단에 신청하면 된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결정 과정 세포 수준서 규명…생쥐 전체 뇌 활동지도 완성"
특정 의사결정을 할 때 뇌세포 하나하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생쥐의 전체 뇌 활동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분석 결과 뇌가 정보를 단계적으로 처리한다는 전통적인 위계적 관점과 달리 의사결정이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뇌 여러 영역에 분산돼 동시에 정교하게 조율된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과 유럽의 대학과 연구기관 12곳으로 구성된 국제 뇌 연구소(IBL) 연구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한 2편의 논문에서 생쥐가 의사결정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탐침으로 뉴런 활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전체 뇌 활동 지도를 만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IBL 공동 창립자인 스위스 제네바대 알렉상드르 푸제 교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일 뉴런 활동을 뇌 전체 차원에서 지도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50만개가 넘는 뉴런의 활동을 기록한 이 지도는 생쥐 뇌 279개 영역, 뇌 전체 용적의 95%가 담긴 방대한 규모"라고 말했다. 2017년 공식 출범한 IBL은 여러 연구실에서 동일한 도구와 데이터 처리 과정을 공유하는 새로운 협업 모델을 도입해 데이터 재현성을 확보했다. IBL 12개 연구실은 최신 전극 장치인 '뉴로픽셀 탐침(

메디칼산업

더보기
"우주서 신약 찾는다"…국내 첫 우주의약 실험 모듈 ISS 올라
우주의약 전문기업 스페이스린텍은 자체 개발한 우주의약 연구 모듈 'BEE-PC1'이 지난달 25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해 미세중력 환경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BEE-PC1 모듈은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에서 단백질 결정화 실험을 수행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우주비행사의 개입 없이 독립적으로 실험할 수 있다. 이 모듈은 지난달 24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을 통해 발사됐다. 스페이스린텍은 이번 우주 실험을 통해 지상에서는 확보하기 어려웠던 고정밀 단백질 구조 데이터를 직접 획득해 항암제 및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실험은 약 4개월간 진행되며 수집된 데이터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협력해 차세대 폐암치료제 개발 자료로 쓰일 예정이라고 회사는 밝혔다. 스페이스린텍은 올해 11월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와 이후 5차 발사 등에도 자체 개발한 신약개발 연구위성을 보낼 계획이다. 윤학순 스페이스린텍 대표는 "이번 연구는 대한민국 바이오 연구가 지상에서 우주로 확장되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과학적 성과들이 향후 암, 치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