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손상 완화하는 새 면역세포 발견"

UNIST·이화여대, 신종 미세아교세포, 항산화 작용으로 재관류성 뇌 손상 줄여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이화여대 연구진이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을 완화하는 새로운 면역세포를 발견했다.

 UNIST는 생명과학과 박성호 교수와 이화여대 오구택 교수 공동 연구팀은 뇌졸중으로 인한 손상을 막는 신종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발견하고 세포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5일 밝혔다.

 미세아교세포는 원래 뇌를 비롯한 중추신경계에만 분포하면서 병원균, 죽은 세포 등을 먹어 치우는 면역 담당 세포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새롭게 발견한 이 미세아교세포는 뇌졸중 재관류 손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관류 손상은 막힌 혈관을 뚫는 등 혈액의 흐름을 복구해 뇌 조직에 다시 산소를 공급해 줬을 때 뇌세포가 오히려 죽는 현상이다

 원인이 불분명하지만, 최근 조직 내로 산소가 갑자기 다시 들어오면서 발생하는 산화 손상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연구팀이 '뇌졸중 관여 미세아교세포'(SAM·Stroke-Associated Microglia)라고 명명한 이 세포는 항산화 작용으로 뇌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를 입증할 증거로는 이 미세아교세포와 Prdx1이라는 유전자의 밀접한 연관성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Prdx1은 활성산소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단백질을 합성(발현)하는 유전자인데, 이 유전자가 결핍된 경우에는 신종 미세아교세포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또 쥐의 뇌동맥에 일시적 혈류 장애를 유발하는 수술을 한 뒤 뇌 조직 변화를 관찰했을 때 Prdx1 이 결핍된 쥐는 그렇지 않은 쥐보다 재관류성 뇌 손상이 더 크게 발생했다.

 연구팀은 신종 미세아교세포를 여러 세포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단일 세포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는 '단일세포분석' 기법을 통해 발견했다.

 박성호 교수는 "뇌졸중 쥐에서 항산화 특이성을 갖는 미세아교세포 군집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며 "뇌졸중 후유증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치료 표적과 예후 예측 지표를 제시한 연구"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항산화 생물학 학술지인 '레독스 바이올로지'(Redox Biology) 8월호에 공개됐다.

 연구 수행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실시간 관찰 전자현미경 기술 개발
퇴행성 질환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의 초기 불안정한 움직임과 같은 생명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질환 발병 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교수 연구팀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연구팀과 함께 그래핀을 이용해 알츠하이머 질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의 실시간 거동을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단분자 관찰 기술(single-molecule technique)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단분자 관찰 기술은 단일 분자 수준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기법이다. 생체 과정에 수반되는 단백질 간 상호작용, 접힘, 조립 과정 등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기술이다. 현재까지는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거나, 단백질을 급속 냉동, 움직임을 고정해 분자 구조를 해석하는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법이 활용됐다. 자연 그대로의 단백질을 특별한 전처리 없이 분자 단위에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은 없었다. 연구팀은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는 그래핀을 이용해 숙제였던 두꺼운 투과 막에 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