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기증 후 남은 신장은 잘 기능할까…AI 예측 모델 개발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예측 알고리즘 특허 출원

 생체 신장 기증 후 남은 신장의 기능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 교수, 응급의학과 차원철 교수 연구팀이 신장 이식 후 기증자의 신장 기능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해 최근 국내 특허를 출원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에서 2009∼2020년 신장을 기증한 823명의 기증 전후 사구체여과율을 바탕으로 여러 AI 모델을 비교한 뒤 오차가 가장 낮은 모델을 채택했다.

 2023년 기준 국내 생체 신장 기증은 모두 1천257건이며, 95%가 가족 안에서 이뤄졌다.

 가족 내에서 선의로 이뤄지는 게 대부분인 만큼 기증 후 공여자의 신장이 제 기능을 할지가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장혜련 교수는 "신장 기증은 그 자체로 특정 질환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기대여명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음에도 여전히 기증에 대한 걱정이 크다"며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불필요한 걱정을 덜게 끊임없이 더 나은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