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5일)

[오늘의 증시일정](5일)
    ◇ 주주총회
    ▲ WI[073570]

    ◇ 추가 및 변경상장
    ▲ (주)수젠텍[253840](주식전환 32만1천674주 1만4천210원, CB전환 5만9천545주 1만6천122원)
    ▲ (주)유틸렉스[263050](주식전환 11만9천997주 1만3천890원)
    ▲ 조광ILI[044060](무상증자 7천945만4천445주)
    ▲ 동부건설(주)[005960](유상증자 3만2천153주 5천원)
    ▲ (주)카나리아바이오[016790](유상증자 23만4천392주 2만6천992원)
    ▲ (주)광무[029480](유상증자 511만7천280주 2천345원)
    ▲ 주식회사 카카오뱅크[323410](스톡옵션 2만4천주 5천원)
    ▲ (주)씨엔알리서치[359090](스톡옵션 26만8천628주 893원)
    ▲ (주)금양[001570](CB전환 33만8천164주 4천140원, CB전환 93만7천914주 4천478원)
    ▲ (주)아이에이치큐[003560](CB전환 68만3천355주 679원)
    ▲ (주)에이프로젠메디신[007460](CB전환 53만9천442주 1천483원)
    ▲ 케이피에프[024880](CB전환 8만3천564주 5천26원)
    ▲ (주)에이티세미콘[089530](CB전환 88만4천955주 1천130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4일) 주요공시]
    ▲ 주성엔지니어링[036930] 2분기 영업이익 346억원…작년 대비 187.4%↑
    ▲ 대한항공[003490], 2분기도 '깜짝실적' 기록…영업익 7천359억원 274%↑
    ▲ LX세미콘[108320] 2분기 영업이익 1천96억원…작년 동기 대비 14.7%↑
    ▲ BGF리테일[282330] 2분기 영업이익 708억원…작년 동기 대비 20.6%↑
    ▲ 동원산업[006040] 2분기 영업이익 943억원…작년 동기 대비 59.1%↑
    ▲ 애경산업[018250] 영업익 41억8천만원, 27.9%↓…中봉쇄로 화장품매출 타격
    ▲ 코오롱인더[120110] 2분기 영업이익 885억원…작년 동기 대비 16.2%↓
    ▲ CJ ENM[035760] 2분기 영업이익 556억원…작년 동기 대비 35.2%↓
    ▲ 스튜디오드래곤[253450] 2분기 영업이익 270억원…작년 대비 95.7%↑
    ▲ KT&G[033780] 2분기 영업이익 3천276억원…작년 동기 대비 1%↑
    ▲ 메리츠 "코스피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 5% 상회…우려 속 선방"
    ▲ 증권가, 하이브[352820] 분기 최대 실적에도 목표가↓…"BTS 부재 반영"
    ▲ 증권가, 카카오뱅크[323410] 목표가 하향…"비용 증가·성장 둔화"
    ▲ 카카오[035720] 2분기 영업이익 1천710억원…작년 동기 대비 5.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만성 스트레스가 우울증 일으킨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기억및교세포 연구단 이창준 단장, 이보영 연구위원 연구팀이 만성 스트레스가 뇌 전전두엽에서 단백질의 당사슬(당쇄) 형태를 바꿔 우울증을 일으키는 뇌 분자 기전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우울증은 단순한 우울감을 넘어서 무기력, 수면 장애 등 증상을 동반한다. 심리적·환경적·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발병 기전이 보고되고 있으나, 실제 치료는 신경전달물질 조절에 집중돼 있다. 세로토닌 기반 항우울제가 널리 쓰이지만, 효과를 보는 환자가 절반에 못 미치며 위장 장애나 불안 악화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 신경전달물질 중심의 접근을 넘어 뇌 속 새로운 분자 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단백질의 당쇄화 과정에 주목됐다. 당쇄화는 단백질에 작은 당 사슬이 붙어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바꾸는 과정으로, 암·바이러스 감염·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서 중요한 분자 기전으로 주목받고 있다. 당쇄화 형태에 따라 N-결합형, O-결합형 등이 있는데 최근 우울증 환자의 생체시료 분석에서 다른 뇌 질환에 비해 O-당쇄화 합성 유전자가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는 결과가 보고됐다. 연구팀이 뇌 조직 샘플별로 분석한 결과 세부 영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