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JW중외도…'오가노이드' 활용 신약 개발 박차

유한양행, 오가노이드 기업 협업 검토…업계 "동물실험 점진적 축소"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동물실험을 축소하고 인공 장기 '오가노이드' 활용을 확대하는 추세다.

 동물실험 대체 방안을 모색하는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이런 현상은 더 확산할 전망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오가노이드 기업 여러 곳을 협업 후보군으로 검토하고 있다.

 동물실험 및 오가노이드 활용 병행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 또는 조직 유래 세포를 3차원으로 응집해 배양한 미니 장기 모델이다.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정밀의료기업 미국 템퍼스AI와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항암 신약을 개발한다.

 템퍼스AI는 실제 암 환자 종양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공하고, JW중외제약은 이를 활용해 신약후보물질을 평가할 계획이다.

 대웅은 오가노이드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 회사가 총괄하는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대량 생산 기술 개발'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 과제에 선정됐다.

 이 과제를 통해 오가노이드 기술을 개발하고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상용화까지 추진하는 게 대웅 측 목표다.

 당장 오가노이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동물실험을 단계적으로 줄이려는 움직임은 업계 전반에서 포착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동물시험 진행 시 '3R' 원칙을 준수한다.

 '대체'(Replacement), '축소'(Reduction), '개선'(Refinement)을 뜻하는 3R은 살아있는 동물 사용을 최대한 대체하고 연구에 사용되는 실험동물 개체수를 최소화하며 동물시험 진행 시 불필요한 고통을 최대한 완화한다는 의미다.

 이 회사 관계자는 "고도화된 과학적 역량을 바탕으로 동물시험 대체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셀트리온도 "동물 실험을 축소하는 규제기관 정책 기조에 따라 동물실험 비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비임상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직접 오가노이드 사업에 나선 경우도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달 오가노이드를 통한 약물 스크리닝 서비스 '삼성 오가노이드'를 출시했다.

 오가노이드를 활용하면 고객사가 원하는 암종을 대상으로 약물 효능을 약 5주 안에 확인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이 회사는 전했다.

 최근 코스닥에 상장한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사람 몸속 환경을 재현해 신약 등 효능을 평가하는 서비스 '오디세이'를 주력 사업으로 확보했다.

 업계는 오가노이드 활용이 앞으로 더 활발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4월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단클론 항체 및 기타 약물에 대한 동물 실험 요건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마틴 마카리 FDA 국장은 "인간 장기 모델 기반 테스트 등으로 환자에게 더 빠르고 안전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며 "연구개발(R&D) 및 의약품 가격도 절감된다"고 강조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이달 오가노이드 시험법 국제표준화를 위한 추진위원회를 발족했다.

 식약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세계 최초 간 오가노이드 활용 독성시험 가이드라인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오가노이드는 인공지능(AI)처럼 신약 개발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단축해준다"며 "미래에는 단순한 보조 수단을 넘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의사제 도입 논의 가속…이르면 27학번부터 정원내 특별전형
지역의 의료 인력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의사제 도입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다. 의대 신입생 중 일정 비율을 지역의사선발전형으로 뽑아 졸업 후 일정 기간 지역에서 의무 복무하게 하는 것으로, 입법이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이르면 2027학번부터 해당 전형 신입생 선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 의대 졸업 후 지역서 10년간 의무복무…4개 법안 논의 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17일 입법 공청회를 열고 현재 발의된 지역의사 양성 관련 법률안 4개에 대한 의료계, 법조계, 환자단체 관계자 등의 의견을 청취한다. 지역의사제 도입은 공공의료사관학교 설립 등과 더불어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로,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지난 9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지역의사제 도입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발의된 법안은 민주당 이수진·김원이·강선우 의원, 국민의힘 박덕흠 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것으로, 지역의사선발전형으로 들어온 의대 신입생들에게 학비 등을 지원한 후 의무복무하게 한다는 골격은 비슷하다. 이들 법안을 바탕으로 지난 9월 정부가 국회가 제출한 수정 대안은 의대 정원 내에서 일정 비율로 선발해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 학비 등을 지원하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