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진제약·국가신약개발사업단, 경구용 저분자 치료제 개발 협업

 삼진제약은 국가신약개발사업단과 '차세대 경구용 저분자 신약후보물질의 비임상 개발'을 위한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면역질환 치료 발전을 위해 맺어졌다.

 협약에 따라 삼진제약은 사업단으로부터 향후 2년간 비임상 전 주기에 걸친 연구개발 자금과 기술 자문을 지원받는다.

 삼진제약이 개발 중인 후보물질은 경구 투여가 가능한 차세대 저분자 치료제로, 인공지능(AI) 기반 약물 설계 기술을 활용해 발굴됐다.

 이수민 삼진제약 연구센터장은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를 수행해 비임상 역량을 한층 고도화하고 후보물질의 상업적 잠재력을 입증할 것"이라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화상으로 피부를 잃은 사람이 자기 세포로 인공피부를 만들어 이식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포항공대(POSTECH)는 신소재공학과·융합대학원 이준민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강래희씨 연구팀이 이화여대 박보영 교수, 고려대 김한준 교수와 함께 환자의 세포와 조직으로 맞춤형 인공피부 이식재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화상이나 만성 상처 치료에 주로 사용하는 자가피부 이식법은 이식에 필요한 건강 피부가 부족하다거나 수술 후 흉터가 남는다는 한계가 있다. 대안으로 '무세포 진피 매트릭스'나 '세포 주사 요법' 등이 있으나 인공 재료의 경우 환자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세포 주사의 경우 생존율이 낮아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몸이 기억하는 재료로 새살을 만드는 법에 주목했다. 환자 피부에서 세포를 제거한 탈세포화 세포외기질을 만들고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와 함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재조합했다. 환자의 단백질 조성과 미세구조를 보존하고 있는 자기 조직을 피부 재생에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연구팀이 맞든 맞춤형 이식재는 실제 피부와 비슷한 복잡한 단백질 환경을 재현했다. 산소 공급을 위한 새로운 혈관도 활발히 자라났다. 동물실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