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식사 어려운 환자 사용하는 '피팅줄' 유료화…환자ㆍ간병인 한숨

환자들 "택배비 포함, 1년에 100만원 더 부담해야"

 구강으로 음식 섭취가 어려운 환자들이 사용하는 피딩줄(feeding tube)이 갑자기 유료화됨에 따라 환자와 간병인들이 경제적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뇌 질환자, 암 환자 등 구강으로 음식 식사가 어려운 환자들은 피딩줄로 코와 장을 연결해 영양분(경장영양제)을 섭취하는 콧줄 식사를 한다. 피딩줄은 식사 때마다 사용하는 일회용 의료기기다.

 지난달 1일 전까지는 경장영양제를 구매하면 용량에 맞춰 피딩줄이 무상으로 제공됐다. 그러나 이후 피딩줄이 유료화돼 환자와 간병인들은 하나당 600원 정도의 피딩줄을 따로 구매해야 한다.

 가정 간병을 하는 A 씨는 "피딩줄 구매로 1년에 택배비 등을 포함해 100만원 가량이 더 드는데, 경제적으로 어려운 입장에서는 굉장한 부담이 된다"며 "피딩줄은 목숨줄과도 같은데 이걸 갑자기 유료화한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했다.

 뇌 질환 환자 커뮤니티의 한 네티즌은 "도시락을 주면 젓가락을 주듯 피딩줄 지급은 당연한 것인데 유료화는 말이 안 된다"며 "개당 가격은 낮아도 매일 쓰는 것이다 보니 추가된 부담이 환자나 간병인을 너무 힘들게 한다"고 했다.

 피딩줄 공급업체는 피딩줄의 갑작스러운 유료화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실시한 '의료기기 공급내역 보고 제도'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식약처는 의료기기 유통 구조의 투명성 및 위해 제품 추적성을 높이기 위해 제조ㆍ수입ㆍ유통 단계별 의료기기 공급내역 보고를 의무화했다. 2등급 의료기기에 해당하는 피딩줄은 지난달 1일부터 공급 보고 대상이 됐다.

 이에 따라 의료기기 제조업자ㆍ수입업자ㆍ판매업자 등은 의료기기 공급자와 공급받은 자의 정보, 제품정보, 공급정보 등을 매월 의료기기 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보고해야 한다.

 피딩줄을 판매하는 한 업체 관계자는 "식약처의 의료기기 공급내역 보고 확대 시행 때문에 공급처를 관리해야 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제약사가 판매처를 두고 유료화를 하게 된 것"이라며 "피딩줄은 지난 몇 년간 당연히 무료였던 것이라 소비자들의 불만을 이해한다"고 했다.

 이어 "마진도 거의 남기지 못하고 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식약처에서 피딩줄 하나만이라도 보고 대상에서 제외해 주면 다 해결될 것 같다"고 전했다.

[피딩줄 판매처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나 식약처 관계자는 "공급내역 보고 시행과 피딩줄의 유료화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고가 시행됐다 해도 피딩줄의 가격을 보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유료화를 한 것은 식약처의 사업과 전혀 관계없는 공급 업체의 선택"이라 말했다.

 환자와 간병인들은 피딩줄 유료화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상황이다.

 A 씨는 "장애인이나 뇌병변장애를 겪고 계신 분들, 노인분들 등 피딩줄을 사용해야 하는 환자가 굉장히 많다"며 "나라에서 사회적 약자인 환자들을 위해서라도 꼭 이전처럼 무료 공급을 해 줬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보상체계 개편…"공정성·투명성 제고"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혈액·소변검사 등과 관련해 검사기관 간의 과도한 할인 경쟁 등 부작용을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위·수탁 보상체계 개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9일 관련 의학회, 의료계 단체 등과 함께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및 질 관리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복지부는 "검체검사 위·수탁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질 관리 강화 및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상체계의 근본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검사료 분리지급과 위탁검사관리료 폐지 방안 등을 보고했다. 검체검사는 질환 진단 등을 위해 혈액, 소변, 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동네의원 등은 검체를 채취해 외부 검사기관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복지부 고시인 '검체검사 위탁에 관한 기준'에 따라 위탁한 병의원엔 위탁검사관리료가, 수탁한 검사기관엔 검사료가 건강보험에서 지급되는 게 원칙인데, 현재는 관행적으로 위탁기관이 일괄 지급받은 후 검사기관에 정산해주고 있다. 그러다 보니 검사기관이 병의원과 계약하려고 과도한 할인 경쟁을 벌이고 불공정 계약이 이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검사 질 저하 우려로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