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2일 조간)

▲ 경향신문 = "압사당할 것 같아요" 4시간 전부터 신고 …경찰은 뭉갰다

▲ 국민일보 = "압사당할 것 같아요"…4시간 전부터 경찰에 11건 신고

▲ 매일일보 = 참사 진상규명 착수…"네 탓" 책임공방

▲ 서울신문 = "압사당할 것 같아요" 11차례 신고 쏟아졌다

▲ 세계일보 = 참사 4시간 전부터 "압사당할 것 같다" 신고 빗발

▲ 아시아투데이 = "이태원 현장 대응 미흡했다"

▲ 일간투데이 = 5대 금융지주 95조규모 푼다

▲ 조선일보 = "압사당한다" 4시간전부터 신고…경찰은 '방치'

▲ 중앙일보 = 경찰, 11번 신고받고도 참사 못 막았다

▲ 한겨레 = "압사당할 것 같다" 4시간 전 알고도 경찰은 묵살했다

▲ 한국일보 = 4시간 전부터 "압사 위험" SOS 쏟아졌다

▲ e대한경제 = "예타만 넘자"…꼼수 판치는 도로사업

▲ 디지털타임스 = 그래도 경제는 굴러가야 한다

▲ 매일경제 = 신동빈 "韓商 도전정신 되살려 미래로"

▲ 브릿지경제 = 빅3 MDM그룹도 흔들 시행사 유동성 빨간불

▲ 서울경제 = 빈 살만 왕세자 이달 한국 온다

▲ 아시아타임즈 = 5대금융지주 '돈맥경화'에 95조원 푼다

▲ 아주경제 = 돈가뭄 해결 나선 5대 금융 연말까지 95조원 자금 푼다

▲ 에너지경제 = 5대 금융, 연내 '95兆' 자금 푼다

▲ 울산경제 = 울산서 세계로…한민족 거상 외연 확장 도모

▲ 이데일리 = 안전 눈감은 정부 바뀐 것은 없었다

▲ 이투데이 = 돈맥경화→실적악화…대기업마저 신용강등 공포

▲ 전자신문 = 수출 추락…2년 만에 '마이너스'

▲ 파이낸셜뉴스 = "압사할 것 같아" 6시34분 절박한 신고 경찰이 묵살

▲ 한국경제 = 수출마저 '마이너스 덫'에 걸렸다

▲ 전국매일 = 고개숙인 경찰청장 "읍참마속 각오로 진상 규명"

▲ 경기신문 =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 게이트볼 경기장 '폭력으로 얼룩'

▲ 경기일보 = 청춘 스러진 자리 싹트는 '배려 문화'

▲ 경인일보 = 이태원처럼…안전대책 안 보인 '경기도 핫플레이스'

▲ 기호일보 = 인천, 수도권 규제에 지역균형발전법 족쇄도 찬다

▲ 신아일보 = 참사 3일만에…관련 부처 수장들 고개 숙였다

▲ 인천일보 = 인천씨티은행, 민선 8기 주요 과제서 제외

▲ 일간경기 = 경기도 생활물류시설 불균형 '심각'

▲ 중부일보 = 지역축제 정부합동 점검 나선다

▲ 현대일보 = 휴간

▲ 강원도민일보 = 폐광기금 2250억원 선고 연기, 폐광지 사업도 차질

▲ 강원일보 = 지자체 축제·행사 특별점검에 '긴장'

▲ 경남도민신문 = 의령 '우순경 사건' 추모공원 만든다

▲ 경남도민일보 = 정부, 이태원 참사 책임 축소 급급

▲ 경남매일 = 경남ㆍ창원소방본부 통합 급물살 타나

▲ 경남신문 = 붕어빵=1000원 '서민간식' 붕어빵도 고물가 영향

▲ 경남일보 = "통영·거제 서부경남 포함해야"

▲ 경북매일 = '생존 골든타임 놓칠라' 봉화광산 구조 총동원령

▲ 경북일보 = 대구-영천 '30분 생활권 시대' 청신호 켜졌다

▲ 경상일보 = 국내외 경제인들의 잔치 막 올랐다

▲ 국제신문 = 4시간 전부터 "압사 공포" 신고, 경찰은 뭉갰다

▲ 대경일보 = 포스코·철강산단 아직도 '힌남노' 트라우마

▲ 대구신문 = 인파 몰리는 지역축제 합동점검 실시

▲ 대구일보 = 도심 생태계 최후의 보루 연호지구 갈 곳 잃은 '멸종위기종' 몰려든다

▲ 매일신문 = 尹대통령 경찰에 격앙…"진상 규명·엄정 처리"

▲ 부산일보 = 4시간 전부터 "압사 당할 것 같다" 112 신고 빗발

▲ 영남일보 = "압사 당할 것 같다" 참사 4시간 전부터 신고 빗발

▲ 울산매일 = 울산시민 위한 '안전보험' 촘촘한 보완 시급

▲ 울산신문 = 개통 12년째 환승센터 없는 울산역

▲ 울산제일일보 = '이태원 참사' 後 심폐소생술 체험 급증

▲ 창원일보 = 창원대상공원 현대아파트 공사장 불법 천지

▲ 광남일보 = 흑산공항 건설 올해 '첫 삽' 가능할까

▲ 광주매일 = "딸아 딸아, 어떡하니 정말" 통곡·오열

▲ 광주일보 = 딸·아들 걱정에…참사 영상 떠올라…'이태원 트라우마'

▲ 남도일보 = 광주·전남, 상수원 고갈 위기…수돗물 공급 비상

▲ 전남매일 = "예고된 인재…안전체계 재점검하라"

▲ 전라일보 = 농촌서 배우는 더불어 사는 교육 '만족'

▲ 전북도민일보 = '심폐소생술' 사람을 살립니다

▲ 전북일보 = 재난 대응 능력, 조기교육으로 키운다

▲ 금강일보 = 상용화 꿈꾸는 소나무 재선충병 천적백신

▲ 대전일보 = 서남부 종합스포츠타운 조성 재가열

▲ 동양일보 = 충남도, 내년 예산 확보 총력

▲ 중도일보 = 방사청 대전이전 '발목잡기'에 지역 정치권 분노

▲ 중부매일 = '지진 트라우마' 일상 흔들

▲ 충남일보 = '알 권리 보장' 구의회 회의 공개 필요성 대두

▲ 충청신문 = 리뷰 이벤트·무인화…대전 상권, 활로 모색

▲ 충청일보 = 24일부터 종이컵·빨대 금지 1년동안은 참여형 계도기간

▲ 충청투데이 = 방사청 이전 확정됐는데 딴지 거는 야당 국회의원

▲ 뉴제주일보 = 크루즈 뱃길 이어 하늘길도 '활짝'

▲ 제민일보 = 투자진흥지구 감면세금 추징 일단 '제동'

▲ 제주매일 = 제주 휘발유-경유 '300원 차이'…가격 역전 지속되나

▲ 제주신문 = 집행부 부실 자료제출·의회 패싱 '오점'

▲ 제주일보 = 국가위성 효율적 통합 관제·관리

▲ 한라일보 = 도, 내년 국비 1조8528억원+α 확보 총력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