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73%, 소변 관련 질병 '비뇨의학과' 진료 부담스럽다"

대한비뇨의학회 "소변 관련 질환은 남녀노소 모두 진료하는 곳"

 우리나라 여성들 상당수는 비뇨의학과에서 진료받는 게 부담스럽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비뇨의학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조사연구소를 통해 19∼64세 남녀 1천54명(남 548명, 여 506명)을 대상으로 비뇨의학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여성의 72.9%가 남성 관련 이미지 때문에 방문이 부담스럽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22일 밝혔다.

 실제 소변과 관련한 증상이나 질환으로 비뇨의학과에서 진료 및 치료를 받아본 여성은 18.6%에 그쳤다.

 의학회는 '남성 전유물'로 인식되고 있는 비뇨의학과의 현재 모습을 보여주는 조사 결과라고 설명했다.

 비뇨의학과는 남녀노소 관계없이 소변의 생성, 저장, 배출과 관련된 우리 몸의 기관을 포괄적으로 치료하는 진료과목이지만, 많은 사람이 남성만 진료하는 곳으로 오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24%는 '여성의 요로감염, 요실금 등 배뇨장애 질환을 비뇨의학과에서 상담, 치료, 관리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에 관한 물음에 '처음 들어본다'고 답변했다.

 대한비뇨의학회 이상돈 회장(양산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은 "여성의 경우 소변 및 방광과 관련한 증상이나 질환이 생겨도 비뇨의학과보다 다른 진료과 치료를 우선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며 "소변 관련 문제가 있을 때 남녀노소 모두 편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비뇨의학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좁혀 나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구조·기능 더 정밀하게 모사한 인공 신장 만들었다
실제 인체 신장의 배관망 구조와 기능을 더 정밀하게 모사한 미니 인공 신장이 나왔다. 12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가 포항공대(POSTECH)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팀과 함께 신장의 연결 구조와 세포 기능을 재현한 미니 인공 신장(신장 오가노이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인체의 신장은 정화 장치인 네프론 약 100만개로 이뤄져 있다. 네프론 속을 흐르는 세관은 집합관으로 연결돼 노폐물이 배출되는데, 지금까지 실험실에서 만든 오가노이드에는 이 집합관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빠져 있었다. 또 네프론 안 세포들도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 실제 신장의 기능을 하기 힘들었다. 연구진은 배양 과정에서 저산소 환경을 만드는 방법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배아가 실제로 발달하는 환경은 산소가 풍부하지 않다. 연구진이 이 같은 환경을 모사하자 역분화줄기세포가 네프론 세포뿐만 아니라 집합관으로 이어지는 세포까지 함께 만들어냈다. 이 두 계열 세포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성장하면서 여러 네프론이 집합관 유사 구조에 연결된 실제 신장과 가까운 네트워크가 형성됐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 결과 세포 구성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