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73%, 소변 관련 질병 '비뇨의학과' 진료 부담스럽다"

대한비뇨의학회 "소변 관련 질환은 남녀노소 모두 진료하는 곳"

 우리나라 여성들 상당수는 비뇨의학과에서 진료받는 게 부담스럽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비뇨의학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조사연구소를 통해 19∼64세 남녀 1천54명(남 548명, 여 506명)을 대상으로 비뇨의학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여성의 72.9%가 남성 관련 이미지 때문에 방문이 부담스럽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22일 밝혔다.

 실제 소변과 관련한 증상이나 질환으로 비뇨의학과에서 진료 및 치료를 받아본 여성은 18.6%에 그쳤다.

 의학회는 '남성 전유물'로 인식되고 있는 비뇨의학과의 현재 모습을 보여주는 조사 결과라고 설명했다.

 비뇨의학과는 남녀노소 관계없이 소변의 생성, 저장, 배출과 관련된 우리 몸의 기관을 포괄적으로 치료하는 진료과목이지만, 많은 사람이 남성만 진료하는 곳으로 오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24%는 '여성의 요로감염, 요실금 등 배뇨장애 질환을 비뇨의학과에서 상담, 치료, 관리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에 관한 물음에 '처음 들어본다'고 답변했다.

 대한비뇨의학회 이상돈 회장(양산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은 "여성의 경우 소변 및 방광과 관련한 증상이나 질환이 생겨도 비뇨의학과보다 다른 진료과 치료를 우선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며 "소변 관련 문제가 있을 때 남녀노소 모두 편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비뇨의학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좁혀 나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무조정실,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 확대 권고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고 29일 밝혔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들은 약국 앞에 설치된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를 통해 약사와 화상통화로 상담·복약 지도 후 일반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지난 2022년 6월 국내에서 규제유예제도(규제샌드박스)로 특례를 부여받아 2023년 3월부터 8대가 운영 중이다. 신산업규제혁신위는 "약효군을 확대하더라도 국민 건강·안전상 우려가 크지 않고, 국민의 의약품 접근성·편의성 및 경증 환자의 응급 의료 혼잡도 개선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위원회는 한약사가 개설한 약국 앞에 스마트 화상판매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행 관리 체계상 불허하기로 권고했다. 아울러 위원회는 반려동물병원 수의사가 동물 진료 목적으로 인체용 의약품을 사용하려고 할 때 약국이 아닌 의약품 도매상으로부터 구매가 가능하도록 실증 특례 부여를 권고했다. 이를 통해 유통 단계를 줄임으로써 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동물병원에서 사용되는 인체의약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