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속 망막혈관 막히는 '망막혈관폐쇄증' 증가세…고혈압·당뇨병 관리 중요

김안과병원 "예고 없는 질환…매년 1~2회 정기 안과 검진받아야"

 눈 속 망막혈관이 막히는 '망막혈관폐쇄증'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김안과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원이 집계한 질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망막혈관폐쇄증으로 진료받은 환자가 2017년 6만311명에서 2021년 7만5천 명으로 24%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망막혈관폐쇄증은 망막에 있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눈으로 혈액이 전달되지 않는 질환을 말한다.

 이 질환은 망막의 중심이나 주변 혈관, 심장과 망막을 잇는 동맥 또는 정맥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발생 부위가 어디냐에 따라 치료법도 달라진다.

 가장 위험한 유형은 망막 내 중심 동맥이 막히는 망막중심동맥폐쇄증이다. 발생 직후 2시간 안에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에 이를 수 있다.

 또 망막은 한번 막히거나 손상되면 이전의 기능으로 온전하게 되돌리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예방과 조기 발견,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망막병원 김철구 전문의는 "망막혈관폐쇄증은 폐쇄 정도에 따라 초기 자각증상이 없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무서운 병으로 꼽힌다"면서 "시야 흐려짐이나 좁아짐, 하루살이가 날아다니는 듯한 비문증 등이 생길 수도 있지만, 전조증상이나 통증 없이 바로 급격한 시력 저하로 나타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치료는 병의 진행 상태에 따라 레이저를 이용한 응고술이나 약물 주사, 유리체 절제술 등이 시행된다.

 망막혈관폐쇄증의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다만, 고혈압과 고지혈증, 당뇨병, 심장질환, 고령 등이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따라서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생활 습관이 필요하다.

 김 전문의는 "균형 잡힌 영양분 섭취와 금주, 금연, 주기적인 운동 등으로 혈압과 콜레스테롤을 관리해야 눈 건강도 지킬 수 있다"면서 "특히 이 질환은 예고 없이 찾아오는 만큼 매년 1~2회 정 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게 가장 좋은 예방책"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美·日처럼…"전담간호사 역할 정립해야"…복지부 "제도화 시행"
의료기관에서 특수분야 간호를 전담하는 간호사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간호사의 역량 개발을 위해 분야별 교육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0개 분야 전담간호사 교육을 실시하는 미국과, 19개 분야 인정간호사 교육제도를 운영하는 일본처럼 한국에서도 교육을 통해 전담간호사의 전문 역량을 본격적으로 개발하자는 것이다. 복지부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등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전담간호사 확대가 필요하다며, 다른 직역과의 논의를 통해 전담간호사를 제도화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대한간호협회(간협)은 18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센터에서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간호사 역량 혁신방안'을 주제로 의료개혁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전담간호사'란 지난 2월 시작된 전공의 집단 병원 이탈로 발생한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정부가 의사 업무 일부를 간호사에게 위임하면서 이들에게 붙인 가칭이다. 'PA 간호사'나 '진료지원인력'이라고도 불리는 이들은 이전에도 의료현장에서 수술장 보조 및 검사시술 보조, 검체 의뢰, 응급 상황 시 보조 등 의사의 의료행위 일부를 암암리에 대신해왔다. 전공의 사직으로 일손이 부족해지자 정부는 지난 2월 27일부터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몸 1차 방어기관 피부 모사한 기능성 상피 '오르가노이드' 개발
국내 연구진이 우리 몸의 1차 방어기관인 피부를 모사한 기능성 상피 오르가노이드(organoid)를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환경질환연구센터 이정운 박사 연구팀이 상처 치료를 촉진하는 3차원 피부 상피 모델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오르가노이드는 인체 장기 등에서 추출한 조직 샘플이나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증식해 만든 장기유사체로, 생체 내외의 특성을 모사할 수 있어 질병 메커니즘 연구, 신약개발과 같은 다양한 바이오 분야에서 활용 중이다. 그동안 피부 상피 연구는 사람 표피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를 2차원 배양한 세포주를 이용했지만, 세포 간 상호작용과 같이 세포 본연의 생리 조건을 모사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마우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피부 상피 오르가노이드를 만들어 피부재생 효과를 확인했다. 개발한 오르가노이드는 다량의 세포 외 소포체를 분비해 상피세포 배양 복합체보다 우수한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질환 모델로서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나아가 첨단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정운 박사는 "생체 외 피부 모델을 통해 질병, 노화 등 피부재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물질 평가뿐만 아니라 치료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