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13일 조간)

▲ 경향신문 = 노동자 초과근무 '주 12시간' 깨진다

▲ 국민일보 = "당심이 승패 가른다" 與 당권주자 '우향우'

▲ 매일일보 = 무역적자 속 '수출 효자' 자동차산업 질주

▲ 서울신문 = 52시간제 유연화 호봉제 대폭 축소

▲ 세계일보 = 인구절벽 한국 경제 印尼에 추월당한다

▲ 아시아투데이 = 국회, 네이버 독과점 지위 규제 공감대

▲ 일간투데이 = 내년 주택價 하락세 지속

▲ 조선일보 = 파견 기간 늘리고, 주휴수당 손본다

▲ 중앙일보 = 주 52시간제 유연화 1년 단위도 허용 추진

▲ 한겨레 = 주 80시간…노동시간 단축에 역주행

▲ 한국일보 = 런던 탄소 39% 감축할 때 서울은 8% '찔끔'

▲ 대한경제 = 법인세 벼랑끝 대치…예산안 날샌다

▲ 디지털타임스 = "내년경제 아주 어렵다 내후년쯤 조금 정상화"

▲ 매일경제 = "52시간 강제적용 닥쳤다" 中企 절규

▲ 브릿지경제 = "주52시간제 유연화, 인력난 中企 살려라"

▲ 서울경제 = 메모리 투자 30% '뚝'…K반도체 직격탄

▲ 아시아타임즈 = 삼성전자, TSMC 추격전…전략회의서 묘수찾기

▲ 아주경제 = 물동량보다 선박 2배 급증…해운업계, 내년 손익분기점 '침몰' 위기

▲ 에너지경제 = 고가 아파트, 경매시장서 주인 못 찾아

▲ 울산경제 = 빚 짊어진 신혼 영끌 결혼 자녀계획은 사치?

▲ 이데일리 = 원유 나르던 상사맨, 친환경 공급망 첨병 서다

▲ 이투데이 = '주 52시간·호봉제 손질'…尹, 노동시장 갈아엎는다

▲ 전자신문 = 1300만원 깎아준다 신차 할인 경쟁 점화

▲ 파이낸셜뉴스 = 서민 덮친 난방비 폭탄…혹독한 겨울 온다

▲ 한국경제 = 韓·美 '차세대 소형원전 동맹' 맺었다

▲ 전국매일 = '이상민 해임안' 후폭풍…예산안 협상 '안갯속'

▲ 경기신문 = 경기도 내 청년 기초수급자, 5년 새 두 배 증가…전국 최고 수준

▲ 경기일보 = 多양한 수법에…보험사 최첨단 기술도 못 막는다

▲ 경인일보 = 18계단 올라 1위 여주시…'코로나 지원' 구슬땀 통했다

▲ 기호일보 = 옛 가치 살리고 문화공간 채우고…도시재생 '가치의 재창조'

▲ 신아일보 = 尹 "이상민 해임, 진상 가린 후 판단"

▲ 인천일보 = 예견된 전력난…"전기 모자라 사업 못해요"

▲ 일간경기 = 연천·가평·강화·옹진, 기회발전특구 지정 '한 목소리'

▲ 중부일보 = 정조대왕능행차 '복식 엉터리'

▲ 현대일보 = 경기 연천·가평군 인천 강화·옹진군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돼야"

▲ 강원도민일보 = "빠지지 않던 조리실 튀김연기, 환풍기 무용지물"

▲ 강원일보 = 47개국 1천여명 "한반도 평화·인류 번영" 염원

▲ 경남도민신문 = 장애 형님과 60여 평생 '생사고락' 함께하다

▲ 경남도민일보 = 통합 잊은 대통령 독주에 정치는 '극단' 민생은 '극한'

▲ 경남매일 = 특별연합 폐기 어깃장 놓는 주장들

▲ 경남신문 = 창원 S-BRT, 예산 확보 못해 분리 발주

▲ 경남일보 = 함안 온다더니…'함흥차사'

▲ 경북매일 = 대구 노후 도심산단 태양광 지붕 덮는다

▲ 경북일보 = "윤석열 정부 지방시대 청사진 내년 3∼4월 발표"

▲ 경상일보 = 현대차 전기차 전용공장 준비 착착

▲ 국제신문 =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내년 출범…추진위 19일 가동

▲ 대경일보 = 'TK통합신공항 특별법' 해넘기나

▲ 대구신문 = '산단 지붕 태양광 사업' 대구에 3조 투자

▲ 대구일보 = 대구 3조 원대 '태양광 사업' 닻 올라…역대 최대 규모 투자

▲ 매일신문 = "주 52시간→최대 年 단위, 호봉제→직무·성과급제"

▲ 부산일보 = 부산시 산하기관 통폐합 마찰음 요란 '비포장길'

▲ 영남일보 = 한화, 대구 17개 산단에 '태양광 지붕' 씌운다

▲ 울산매일 = 울산시, 도심융합특구에 다운목장 부지 33만㎡ 추가

▲ 울산신문 = 매곡산단, 전기차 맞춤형 산업단지로 바꾼다

▲ 울산제일일보 = 소중한 꿈 남기고 떠난 노 교육감…"교육혁신 뜻 잇겠다"

▲ 창원일보 = 반발 쎄지는 부울경 특별연합 폐지

▲ 광남일보 = 전남쌀 맛있는 변신…입맛 사로잡다

▲ 광주매일 = 코로나19 3년 '확 바뀐 소비 패턴'

▲ 광주일보 = '유전결혼 무전비혼'

▲ 남도일보 = 느슨한 방역 틈타 고병원성 AI 확산세

▲ 전남매일 = 광주·전남 산하기관장 인선에 '혁신' 없다

▲ 전라일보 = '새만금 연결도로' 내년 국비 반영 안 됐다

▲ 전북도민일보 = "전주을 무공천" 민주 결정 술렁

▲ 전북일보 = 민주당 전주을 무공천…선거판 요동

▲ 금강일보 = 대전서 '이태원 참사' 지역 대책기구 첫 출범

▲ 대전일보 = 유성복합터미널 순수 '터미널 기능'만 갖춘다

▲ 동양일보 = 국내 유일 '지방자치단체조합' 탄생

▲ 중도일보 = 향토호텔 '고사 위기'…대형 프랜차이즈는 승승장구

▲ 중부매일 = 반도체 한파에 SK하이닉스 주가 약세

▲ 충남일보 = 인터넷 부동산 카페 왜곡 정보 수두룩

▲ 충청신문 = 대전 자치구, 정부 문화도시 사업 '팔짱'

▲ 충청일보 = 충북도 2037년에 '인구 정점' 노인 2040년까지 120% 증가

▲ 충청투데이 = 결국 해 넘기는 '대전·충남 혁신도시2'

▲ 뉴제주일보 = 화물차 단속 CCTV 설치 지연…왜?

▲ 제민일보 = 정부 지원 없다고 제주도 역시 '미흡'

▲ 제주매일 = S신협 "제발 적금상품 계약 해지해 주세요" 읍소

▲ 제주신문 = '워케이션 비자'로 설레는 제주

▲ 제주일보 = 고금리에 너도 나도 월세 찾아

▲ 한라일보 = 제주용암해수산업 육성 본격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