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장군 즐기며 이겨내자'…경기지역 곳곳서 겨울축제 한창

썰매타기·연만들기 체험부터 얼음낚시까지 '다채'

 한겨울을 맞아 경기지역 곳곳에서 다양한 축제가 줄지어 열리고 있다.

 특히 이번 겨울에는 일상 회복이 한 발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난 3년간 중단되거나 축소 운영됐던 대면 행사들이 속속 열려 행사장이 모처럼 활기를 띠는 모습이다.

 경기 포천시는 지난달 23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백운계곡에서 경기 북부의 대표적 겨울 축제인 '동장군 축제'를 연다.

 백운계곡은 경기 북부지역의 대표적인 청정지역으로, 겨울철에는 계곡을 따라 거센 동북풍이 불어와 겨울 정취를 마음껏 느낄 수 있다.

 올해로 18회째를 맞은 백운계곡 동장군 축제는 포천시가 주최하고 백운계곡 상인협동조합이 주관해 진행한다.

 축제장에서는 회전 눈썰매, 스케이트, 어린이 작품 만들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끽할 수 있다.

 인근 포천 산정호수에서도 지난달 30일부터 다음달 12일까지 '포천 산정호수 썰매 축제'가 열린다.

 이번 행사는 제98회를 맞았으며 마을 주민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한다.

 추억의 얼음 썰매와 더불어 오리·펭귄·푸 등 다양한 캐릭터 모양의 썰매를 탈 수 있고 로맨스 자전거, 러버덕 기차 등도 체험할 수 있어 가족, 친구, 연인과 시간을 보내기 좋다.

 곳곳에서는 얼음낚시를 즐길 수 있는 행사도 열린다.

 안성 죽산면 두교리 광혜원저수지에서는 지난달 24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안성 동막골 빙어 축제'가 열린다.

 광혜원저수지는 안성시를 대표하는 1급수 대형 저수지로, 주변 경관도 수려하다.

 행사장에서는 빙어 낚시 및 뜰채 잡이와 옛날 썰매 체험 등을 즐길 수 있다.

 양평군 향리낚시터에서도 같은 기간 '양평 산수유마을 빙어 축제'가 열린다.

 가평군 가평천 일대에서는 지난달 30일부터 '자라섬 씽씽 겨울축제'가 열려 시민들을 맞이하고 있다.

 오는 3월 1일까지 열리는 이 행사에서는 송어 낚시터와 함께 회 센터, 공동 취식장 등이 운영돼 직접 잡은 송어를 곧바로 맛볼 수 있다.

 이 밖에 얼음 놀이터 등 놀이 시설과 썰매 타기, 연 만들기 등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이들 행사의 주요 프로그램은 유료로 운영되며, 날씨에 따라 일정이 변경될 수 있는 만큼 방문 전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

 ◇ 경기지역 주요 겨울축제 현황

 

시군 행사 개요
포천시 <동장군 축제>
- 2022.12.23~2023.2.5 백운계곡
- 회전 눈썰매, 스케이트, 어린이작품 만들기 등
포천시 <포천 산정호수 썰매 축제>
- 2022.12.30~2023.2.12 산정호수
- 캐릭터 썰매, 로맨스 자전거, 러버덕 기차 타기 등
안성시 <안성 동막골 빙어 축제>
- 2022.12.24~2023.2.5 광혜원저수지
- 빙어 낚시, 뜰채 잡이, 옛날 썰매 체험 등
양평군 <양평 산수유마을 빙어 축제>
- 2022.12.24~2023.2.5 향리낚시터
- 빙어 낚시 등
가평군 <자라섬 씽씽 겨울 축제>
- 2022.12.30~2023.3.1 가평천 일대
- 송어 낚시, 썰매 타기, 연 만들기, 얼음 놀이터 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