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비대면 진료를 이용한 환자 대부분이 크게 만족한다는 원격의료산업계 자체 설문 결과가 나왔다.
이용자들은 시간 절약과 의료 접근성 개선을 후하게 평했다.
비대면 진료 중개 플랫폼 업체들이 주축이 된 원격의료산업협의회(원산협)는 지난 10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비대면 진료의 미래: 대국민 정책 수요조사 결과 발표 및 업계 정책 제언'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설문은 비대면 진료 이용 경험이 있는 1천51명과 의사 및 약사 430명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정책 수요, 향후 이용 의향 등에 관해 묻고 분석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img1.yna.co.kr/etc/inner/KR/2025/11/10/AKR20251110101551530_01_i_P4.jpg)
이들은 비대면 진료에 대해 시간 절약 효과(95.7%), 의료 접근성 개선(94.5%), 대면 진료 지연·포기 문제 해결(93.5%), 병원과 약국 정보 접근 용이(91.8%), 의약품 접근성 개선(88.5%) 순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봤다고 답했다.
비대면 진료를 경험한 의사의 73.5%와 약사의 56.2%도 만족한다고 했다.
의·약사의 경우 환자의 의료 접근성 개선(의사 82.1%·약사 68.5%), 의약품 접근성 개선(의사 70.9%·약사 66.3%) 등을 높이 평가했다.
비대면 진료 정책 수요에 있어서는 환자와 의사, 약사 사이의 견해차가 뚜렷했다.
환자는 정부와 국회가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전 과목 비대면 진료 허용(39%), 의약품 배송 허용(37.7%), 약의 성분명 처방(35.1%)을 꼽았다.
반면 의사는 의료사고 책임과 보상 기준 마련(44.4%)을 최우선 순위로 꼽았고, 이어 비대면 진료 건강보험 수가체계 현실화(43%), 의사 판단하에 초진 허용 대상 범위 확대(34.4%) 등이었다.
약사는 의약품 성분명 처방(64.9%)을 고려해야 한다는 응답이 과반이었다.
이어 대형 약국 쏠림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47%), 비대면 진료 공공 플랫폼 구축(33.7%)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날 원산협은 비대면 진료 제도화에 있어 국민의 선택권과 의료접근성 확대, 규제 중심이 아닌 혁신과 육성 중심의 정책 전환, 공공과 민간이 상호 보완하는 민관협력 기반 구축에 집중해달라고 제언했다.
특히 비대면 진료를 규제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의료 인프라 혁신의 관점에서 지켜봐달라고 강조했다.
이슬 원산협 공동회장은 "비대면 진료는 시범사업을 통해 대면 진료에 준하는 효용을 입증했다"며 "비대면 진료 제도화는 국민의 선택과 접근성 확대를 최우선 가치로 해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대면 진료는 이미 국민이 선택하고 현장에서 실현되고 있는 의료의 현실"이라며 "정부와 국회가 원산협의 제언에 따라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추진한다면 업계는 미래의료 완성을 위한 책임 있는 민간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비대면 진료 제도화 과정에서 쟁점 사항 중 하나인 약 배송에 대해서는 제도화 과정에서 점차 실질적인 요구가 커질 것으로 봤다. 그간 약사회 등에서는 비대면 진료 제도화 추진에서 약 배송이 허용될 경우 대형 약국 쏠림 현상 등이 발생하면서 동네 약국이 고사할 수 있다고 지적해왔다.
이 회장은 "현재 비대면 진료를 하면서 약 배송을 하지 않는 국가는 없다"며 "비대면 진료를 하면서 약 배송을 하지 않는 건 모순이므로, 비대면 진료가 활성화될수록 약 배송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제도 역시 열릴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