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실 운영 시 연간 5억 지원에도 안성 산부인과들 "여력 없어"

최근 '분만 취약지' 지정…병의원 난색으로 원정 출산 이어질 듯

  2년 넘게 '원정 출산'이 이어지고 있는 경기 안성시에 분만실 운영 산부인과에 연간 5억원의 운영비 지원 길이 열렸으나 산부인과들은 여전히 분만실 운영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1일 '2023년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 지침'을 통해 전국 108개 시·군을 분만 취약지로 지정했다.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가 2021년 말 폐업한 후 2년 넘게 인근 지역 병의원으로 원정 출산이 이어지고 있는 안성시도 이번에 처음으로 분만 취약지에 포함됐다.

 분만 취약지로 지정된 곳에서 산부인과 병의원이 분만실을 운영하면 연간 국비 2억5천만원과 지방비 2억5천만원 등 5억원의 운영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이에 안성시는 지난달 24일 관내 산부인과 진료를 하는 6개 병의원에 공문을 보내 운영비 지원 사항을 알리고 분만실 운영 의사가 있으면 이달 2일까지 공문을 통해 회신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관내 6개 병의원 중 회신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시 담당자가 유선을 통해 의견을 물었으나 "연간 5억원의 운영비로는 분만실 운영 시 적자 규모가 더 커 여력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안성지역 한 산부인과 병의원 관계자는 "분만실을 운영하면 분만실과 수술실 등 시설도 갖춰야 하고, 전문 의료진도 필수적으로 보유해야 한다"며 "의료진 인건비만 해도 연간 5억원은 훌쩍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복지부 '분만 산부인과 설치·운영 기준'을 보면 필요 인력은 산부인과 전문의 2명, 소아청소년과와 마취과 전문의 각 1명, 간호인력 6명, 임상병리사, 영양사 등 필수 인력을 갖추게 돼 있다.

 안성시 관계자는 "관내 6개 산부인과 병의원 중 분만실이 갖춰진 곳이 2곳 있는데 현재 운영은 하지 못하는 상태"라며 "병·의원들이 국비 등 운영비를 지원해 줘도 아직은 여력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당분간은 원정 출산이 계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안성시는 오는 22일 관내 의료계와 분만실 운영 등 산부인과 의료 체계 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