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신약 레스메티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에 게임 체인저"

 실험 신약 레스메티롬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에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거나 아주 적게 마시는데도 간에 지방이 쌓이는 현상으로 방치하면 간 섬유화-간경화-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비만, 당뇨병 등이 위험 요인이다.

 미국의 간 건강 관련 임상시험 전문 연구기관인 피너클 임상연구소(Pinnacle Clinical Research)의 스티븐 해리슨 교수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966명(평균연령 56세, 남성 44%, 백인 90%)을 대상으로 52주에 걸쳐 진행한 3상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은 임상시험 시작 때 조직검사에 의한 비알코올성 지방간 활동 점수가 4점, 간 섬유화 단계는 F1B, F2 또는 F3, MRI 측정 간 지방은 최소 8% 이상이었다.

 임상시험의 1차 평가변수는 풍선 변성 점수(ballooning score) 0점, 염증 점수 0~1점, 비알코올성 지방간 활동 점수 2점 감소였다.

 임상시험 시작 때와 52주 후 간 조직검사 결과를 두 병리 전문가가 따로따로 평가했다. 그 결과 레스메티롬이 투여된 환자는 1차 평가변수에 대한 반응 강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병리 전문가의 평가는 비슷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활동 점수의 악화 없는 간 섬유화가 최소한 1단계 이상 개선된 경우는 레스메티롬 80mg 그룹이 24%, 100mg 그룹은 26%로 나타났다.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은 14%에 머물렀다.

 간 지방은 80mg 그룹이 42%, 100mg 그룹은 51%,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은 10%가 줄었다.

 또 80mg 그룹은 26%, 100mg 그룹은 30%가 간 염증이 해소됐다. 대조군은 10%에 그쳤다.

 남부 덴마크 대학 오덴제 간 연구센터의 간 전문의 알렉산데르 크라그 교수는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결과"라면서 이 약이 승인된다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논평했다.

 현재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승인된 치료제가 없다.

 부작용은 위장관과 관련된 것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부작용은 설사였다.

 실험군은 34%가 설사가 나타나 평균 2주간 계속됐다. 대조군은 16%만이 설사가 나타났다.

 실험군은 임상시험이 시작된 후 첫 몇 주 사이에만 설사 발생률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그 후 임상시험이 계속된 52주 동안은 설사 발생률이 대조군과 비슷했다.

 연구팀은 이 임상시험을 앞으로도 54개월 동안 더 계속할 예정이다.

 레스메티롬은 마드리갈 제약회사가 개발한 선별 갑상선 호르몬 베타 작용제로 지방간 대사를 증진하고 간 독성을 떨어뜨린다.

 이 임상시험 결과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 간 연구 협회(EASL)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