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당제약은 안과 질환 치료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비젠프리' 바이알 및 프리필드시린지(PFS·사전 충전형 주사기) 제형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22일 공시했다. 아일리아는 미국 제약사 리제네론이 습성 황반변성, 당뇨병성 황반부종 등 질환에 쓸 수 있도록 개발한 의약품이다. 비젠프리는 신생혈관성 (습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의 치료, 망막정맥폐쇄성 황반부종에 의한 시력 손상의 치료, 당뇨병성 황반부종에 의한 시력 손상의 치료, 병적근시로 인한 맥락막 신생혈관 형성에 따른 시력 손상의 치료 등에 대해 허가받았다. 삼천당제약은 "오리지널 제품과 동일한 적응증에 대하여 품목허가를 획득했다"며 "추후 보다 많은 환자에게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같은 날 회사는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SCD411' 바이알 및 PFS 제형에 대해 동유럽 8개국과 독점판매권 및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도 공시했다. 계약 국가는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루마니아다. 계약금 및 마일스톤은 공개되지 않았다.
타이레놀을 임신한 여성이 섭취하면 아이에게 자폐증이 생길 우려가 있으며 '류코보린'이라는 약물에 자폐증 치료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을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할 예정이라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 내용을 사전에 검토했으며 발표 기자회견이 22일 백악관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 애리조나주 글렌데일 소재 스테이트팜 스타디움에서 열린 우파 활동가 찰리 커크의 추모식 연설을 하면서 "내일 우리는 우리 나라 역사에서 의학적으로 가장 큰 발표 중 하나를 할 것"이라며 "놀라운 내용이 될 것이다. 나는 우리가 자폐증에 대한 답을 찾았다고 생각한다"며 발표 계획을 예고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성명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자폐 비율 상승에 대책을 마련할 것이고 그것도 '금본위 과학'('비교 기준으로 널리 쓰일 만큼 타당성을 인정받는 과학'이라는 뜻)으로 하겠다고 공약했다"며 "내일 발표는 두 개 약속 모두에서 역사적 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래전부터 미국에서 자폐증 환자 비율이 높아지는 데 대해 우려를 표명해왔으며 올해
국내 초기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분야에서 폭넓게 처방되던 '콜린알포세레이트'(콜린)의 급여 축소가 이달 시행된다. 업계에 따르면 서울고등법원은 최근 대웅바이오 등이 제기한 급여 축소 효력 집행정지 청구를 기각했다. 대웅바이오 등은 앞서 콜린 제제 급여 범위 축소에 대한 항소심에서 패소한 뒤 대법원 판결이 나올 때까지 시행을 유예하려 했으나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향후 콜린 제제를 사용하는 환자의 본인 부담률은 기존 30%에서 80%로 늘어날 예정이다. 콜린은 기억력이나 집중력 저하가 있는 환자의 인지 기능 개선을 목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돼 온 약물로 경도인지장애(MCI), 치매 초기, 뇌혈관 질환 이후 인지 저하가 우려되는 환자군에 널리 처방돼 왔다. 2022년 5천349억원, 2023년 5천805억원, 작년 5천672억원에 이르는 처방 규모를 기록한 블록버스터 약물이다. 원래는 건강보험 급여 적용으로 환자는 약값의 30%만 본인 부담금으로 지불했다. 그러나 2020년 보건복지부가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환자에 대해 콜린 처방 시 본인부담률을 기존 30%에서 80%로 상향한다고 고시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본인 부담률이 80%로 인상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