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치료약 '레켐비' 뒤를 이을 신약 후보는?

 미국 식품의약청(FDA)이 최초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로 정식 승인한 레켐비의 뒤를 이을 신약 후보는 어떤 약일까.

 현재 마지막 단계의 임상시험을 거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실험 신약은 일라이 릴리 제약의 도나네맙, 바이오비 제약의 NE3107, AB 사이언스의 마시티닙 등 3가지라고 로이터 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도나네맙은 초기 치매 치료제이고, NE3107과 마시티닙은 경증 내지 중등도(moderate) 치매 치료제로 모두 3상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이밖에 바이오젠 등 7개 제약회사가 개발한 치매 실험 신약이 초기 또는 중간 단계의 임상시험을 거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 분타네탑 = 아노비스 바이오. 중등도 치매 치료제. 2∼3상 임상 진행 중.

 ▲ CT1812 = 코그니션 세러퓨틱스. 경증 내지 중등도 치매 치료제. 2상 임상 진행 중.

 ▲ COYA 301 = 코야 세러퓨틱스. 경증 내지 중등도 치매 치료제. 2상 임상 진행 중.

 ▲ 사나멤 = 액티노젠 메디컬. 경증 내지 중등도 치매 치료제. 2상 임상 진행 중.

 ▲ ACI-24.060 = AC 임뮨. 초기 치매 치료제. 1∼2상 임상 진행 중.

 ▲ BIBO80 = 바이오젠. 초기 치매 치료제. 2상 임상 진행 중.

 ▲ 로메셀-B = 롱에버론. 경증 치매 치료제. 2상 임상 진행 중.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