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의료취약지역에서 근무하겠습니까?"…의사 63% '네'

의사협회 조사결과…"46% 공공의료기관 근무 시 의료사고 대한 지원 필요"

 현직 의사의 60% 이상이 은퇴 후 의료인력 부족 현상이 심각한 의료 취약지에서 근무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13일 오전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은퇴 후 선생님의 진로 선택은?'이라는 주제로 지난달 14∼26일 협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퇴직 후에도 진료를 계속하고 싶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2016명의 78.8%는 '하고 싶다'고 답했다.

 현역 은퇴 연령은 몇살이 적당하냐는 질문엔 65∼69세(35.2%)→ 75세 이상(23.6%)→ 70∼74세(22.1%)→ 60∼64세(13.8%)→ 60세 미만(5.3%) 순으로 답했다.

 은퇴 후 의료취약지에서 근무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3.1%는 '있다'고 답했다.

 은퇴 후 국공립병원이나 지방의료원, 보건소 등 공공보건의료기관에 취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77.0%가, 의료취약지 민간의료기관에 취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67.9%가 '그렇다'고 답했다.

 은퇴 후 다른 지역에서 근무하기 위해 거주지를 옮길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55.2%가 '있다'고 답했다.

 은퇴 후 선호하는 근무지로는 수도권(36.7%)→ 영남권(26.8%)→ 강원(10.8%)→ 호남권(9.7%)→ 충청권(9.2%)→ 제주(6.8%)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선호율은 2020년 55.9%에서 올해 37.2%로 3년 만에 18.7%포인트 감소했고, 강원지역 선호율은 2020년 4.4%에서 올해 10.8%로 2배 이상 늘었다고 의협은 설명했다.

 수도권이 아닌 지방으로 근무지를 옮겨야 할 때 가장 힘든 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엔 응답자의 29.7%가 '가족과 떨어지는 것'이라고 답했고, 의료·인프라부족(16.2%), 사회관계 단절(16.1%), 여가·문화시설 부족(9.3%) 등이 뒤를 이었다.

 은퇴 의사를 활용해 의사 증원 없이 일차의료와 공공의료 강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과반인 57.9%가 '가능하다'고 답했고, 24.3%는 '모르겠다', 17.8%는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퇴직 의사가 공공보건의료기관에서 근무할 경우 어떤 정부 지원이 필요하겠느냐는 질문엔 가장 많은 46.0%가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지원'을 꼽았다. 인건비 지원 25.1%, 교육과 표준 운영지침 마련 13.8%, 주거공간 지원 10.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퇴직의사나 퇴직 전 이직을 희망하는 의사를 지역 공공의료기관과 연계하는 사업인 '시니어의사-지역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에 대해선 응답자의 69.9%가 긍정적이라고 답했고, 19.1%는 보통, 11%는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이필수 의협회장은 "지역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니어의사를 활용한 지역 공공병원 매칭 사업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남대, 삼중 항암 면역치료법 개발
광열치료·항암백신·면역관문억제제를 혼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면역치료법이 전남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는 3일 이준행(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이시은(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박인규(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암면역치료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에 빛을 쬐어 없애는 광열치료, 높은 온도에서도 효능을 잃지 않는 플라젤린 면역증강제 첨가 면역 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등을 병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암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 기존 면역치료법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암 백신은 각각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종양이 만들어내는 복잡하고 억제적인 미세환경(TME)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또 광열치료는 빛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에 사용되는 높은 열이 오히려 면역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깃 할 수 있는 '종양 특이적 나노입자'를 활용해 광열치료 효과를 최적화했고, 면역 백신과 면역관문억제제 등 3가지를 함께 적용하는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