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새 방아쇠 찾았다…"신경세포 시냅스 장애가 출발점"

美 연구팀 "뉴런 퇴화 전 시냅스 장애 발생 확인…새로운 치료 전략 가능"

 도파민을 합성, 분비하는 도파민 작동성 신경세포(뉴런) 퇴화가 파킨슨병의 시작이라는 통념과 달리 이보다 일찍 진행되는 뉴런 시냅스(신경접합부) 기능 장애가 파킨슨병의 출발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디미트리 크라인크 교수팀은 과학저널 '뉴런'(Neuron)에서 신경세포가 죽기 전 도파민성 시냅스가 기능 장애를 일으키고 이 장애가 도파민 결핍으로 이어져 파킨슨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크라인크 교수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뉴런이 퇴화하기 전에 기능 장애 시냅스를 표적으로 삼는 게 더 나은 파킨슨병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손발 등이 떨리고 몸이 경직되며 움직임이 느려지는 파킨슨병은 전체 인구의 1~2%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중뇌의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소실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능 장애가 있는 미토콘드리아가 세포에 남아 있으면 세포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데 PINK1이나 파킨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으면 미토파지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파킨슨병에 걸리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파킨슨병 환자의 중뇌 뉴런을 분석, 다양한 유전적 형태의 파킨슨병에서 도파민 시냅스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PINK1 유전자 없이 태어난 자매에 대한 연구를 통해 파킨 유전자가 이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자매는 모두 PINK1이 없어 파킨슨병 위험이 높았지만, 한 명은 16세, 다른 한 명은 48세에 각각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다. 차이는 16세에 진단받은 여성만 파킨 유전자가 부분 손실돼 있었다는 점이다.

 크라인크 교수는 "파킨슨병이 발생하려면 파킨이 완전히 소실돼야 하기 때문에 부분 소실 자체로는 파킨슨병을 일으키지 않는다"며 "추가 분석 결과 파킨 유전자가 시냅스 말단에서 미토콘드리아 재활용과 무관한 다른 경로로 도파민 방출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파킨 유전자가 부분 소실된 여성은 시냅스 말단의 도파민 방출에 문제가 생겨 똑같이 PINK1 유전자가 없는 자매보다 32년이나 먼저 파킨슨병에 걸렸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또 환자 뉴런에서 파킨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다며 이를 통해 도파민 뉴런의 퇴화를 예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크라인크 교수는 "뉴런 퇴화 전에 기능 장애 시냅스를 표적으로 삼는 게 더 나은 파킨슨병 치료법이 될 수 있다"며 "새로 발견된 경로를 자극해 시냅스 기능 장애를 고치고 나아가 신경 퇴행을 예방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 논문 출처 : Neuron, Pingping Song et al. , 'Parkinson's disease linked parkin mutation disrupts recycling of synaptic vesicles in human dopaminergic neurons'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KAIST, 사용할수록 더 강해지는 인체 뼈 닮은 신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강성훈 교수 연구팀이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조지아 공과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인체 뼈의 원리를 모사해 사용할수록 오히려 더 강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아파트 건물, 차량 등을 구성하는 재료는 반복적으로 하중을 받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이 저하된다. 한미 공동 연구팀은 우리 몸속 뼈가 하중을 받으면 세포 작용으로 미네랄을 합성해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원리에서 영감을 얻어 사용할수록 단단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힘을 많이 가할수록 전하를 더 많이 생성하는 다공성 압전 소재(힘을 전기로 변환하는 소재)로 바탕재를 만든 뒤 미네랄 성분을 갖는 전해질을 넣어 복합재료를 합성했다. 재료에 주기적인 힘을 가한 후 물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응력(외력에 의해 변형된 물체 안에서 발생하는 힘)의 빈도와 크기에 비례해 재료의 강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마이크로 CT 촬영을 통해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다공성 재료 안에 미네랄이 형성되고, 힘이 가해지면 미네랄이 파괴되면서 에너지를 흩어지게 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시 응력을 가하면 미네랄이 형성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기존 재료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할수록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2028년까지 신설
셀트리온이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곤 충남개발공사 사장은 27일 예산군청 추사홀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투자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2023년 11월 도와 예산군, 셀트리온이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지 1년 2개월여 만이다. MOA는 비구속적인 MOU와 달리 특정한 조건과 세부적인 사항을 담은 법적 구속력이 담긴 합의서다. 이날 MOA를 체결한 것은 셀트리온의 도내 투자가 구체적으로 확정돼 본격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과 예산군은 셀트리온 신규 공장이 들어설 내포신도시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산업단지 가운데 일부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함께 산업단지 계획을 수립해 올해 안에 승인받기로 했다. 산단 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새로 짓는다. 도와 예산군은 신속하게 산단 개발과 공장 신설이 이뤄지도록 인허가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충남개발공사는 산단 조성을 위한 토지 매입과 기반 시설 공사를 2027년 상반기까지 마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