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세계 비만치료제 시장, 2030년 136조원 규모로 확대"

미국 일라이 릴리,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 시장 주도 전망

  미국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획기적인 비만치료제의 등장으로 관련 시장의 규모가 2030년까 지 1천억 달러(약 136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골드만삭스는 이 시장이 미국의 일라이 릴리와 덴마크의 노보 노디스크가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전망은 특히 최근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가 체중 감량뿐 아니라 심장마비와 뇌졸중 위험도 감소시킨다는 임상실험 결과가 나오면서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앞서 영국 IB 바클레이스는 지난 4월 2033년까지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가 1천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독일 IB 베렌버그도 2030년까지 85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만성적인 체중 관리시장이 변곡점을 맞고 있다"며 "견조한 성장에 이어 궁극적으로 의약품 가운데 역대 최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비만치료제 '몬자로'를 생산하는 일라이 릴리는 현재 시장 가치 기준으로 세계 최대 헬스케어 기업이며, 노보 노디스크는 지난달 오젬픽과 위고비에 대한 시장의 열광적인 반응해 힘입어 유럽에서 가장 가치 있는 상장기업이 됐다.

 'GLP-1' 계열 의약품으로 알려진 노보 노디스크의 당뇨병 및 비만치료제는 세마글루타이드라는 활성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식욕을 억제하고 소화관을 통한 음식의 이동을 늦추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미 '몬자로'라는 당뇨병 치료제로 승인받은 일라이 릴리의 티르제 파타이드는 올해 말까지 항비만제로 승인받아 비만치료제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골드만삭스는 이들 두 기업이 2030년 비만치료제 시장의 80%를 점유하는 2강 체제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협 "임신중 타이레놀 자폐증 유발 근거無…불안 야기 말아야"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확립된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25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제적으로도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필요시 단기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불확실한 주장에 불안해하지 마시고 주치의와 상의해 약을 복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일부 전문가들이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행동에 대해서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면서 고열·통증을 타이레놀 없이 참고 견디되, "참을 수 없고 견딜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복용해야 하겠지만, 조금만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아스피린과 달리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가 해열·진통을 위해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로 여겨져 왔다는 점에서 보건·의료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근거가 뭐냐"는 반발이 일고 있다. 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