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유도 화학요법 먼저 하면 재발·사망 위험 35%↓"

 자궁경부암은 표준 치료에 앞서 항암제를 먼저 투여하는 유도 화학요법((IC: induction chemotherapy)을 시행하면 재발과 사망 위험을 상당히 낮출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도 화학요법은 조직 검사 후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 전에 항암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자궁경부암의 표준 치료는 항암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는 항암화학/방사선 치료(CRT: chemoradiation)이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암연구소의 메리 매코맥 박사 연구팀은 항암화학/방사선 동시 치료 직전에 일반 항암제인 카르보플라틴과 파클리탁셀을 투여하면 자궁경부암 재발 또는 사망 위험을 35%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일간 가디언이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 참가 환자들은 자궁경부암 진단 시 종양이 현미경 없이 볼 수 있을 정도로 컸으나 암세포가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되지 않은 상태였다.

 CRT와 IC를 함께 받은 환자는 80%가 5년 후 생존해 있었고 73%가 암이 재발하거나 전이되지 않았다.

 이에 비해 CRT만 받은 환자는 72%가 5년 후 생존해 있었고 64%가 재발하거나 전이되지 않았다.

CRT는 1999년 이후 자궁경부암의 표준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사이에 방사선 치료 기술이 개선되었음에 불구하고 자궁경부암의 재발률은 최대 30%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임상시험 결과는 자궁경부암 치료에 중요한 진전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영국 암 연구소의 이언 포크스 박사는 암 치료에는 타이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표준 치료에 앞서 단순히 유도 항암치료를 먼저 하는 것으로 놀라운 효과가 나타났다고 논평했다.

 자궁경부암만이 아니라 여러 다른 암에도 수술과 방사선 치료 전에 유도 항암요법을 추가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나타나고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 종양학회(ESMO)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2028년까지 신설
셀트리온이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곤 충남개발공사 사장은 27일 예산군청 추사홀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투자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2023년 11월 도와 예산군, 셀트리온이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지 1년 2개월여 만이다. MOA는 비구속적인 MOU와 달리 특정한 조건과 세부적인 사항을 담은 법적 구속력이 담긴 합의서다. 이날 MOA를 체결한 것은 셀트리온의 도내 투자가 구체적으로 확정돼 본격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과 예산군은 셀트리온 신규 공장이 들어설 내포신도시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산업단지 가운데 일부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함께 산업단지 계획을 수립해 올해 안에 승인받기로 했다. 산단 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새로 짓는다. 도와 예산군은 신속하게 산단 개발과 공장 신설이 이뤄지도록 인허가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충남개발공사는 산단 조성을 위한 토지 매입과 기반 시설 공사를 2027년 상반기까지 마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