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신약 앞세워 2030년 신약 매출 1조원 목표"

 

 대웅제약이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와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를 앞세워 2030년 신약 매출 1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공개했다.

대웅제약은 24∼26일(현지 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국제의약품박람회'(CPHI Barcelona)에서 자체 개발 신약의 '3E 글로벌 초격차 전략과 신약 글로벌 매출 1조원 달성 비전에 대해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3E 전략은 신속한 글로벌 품목허가(Efficiency), 동시다발적 신약 라인업 확충(Extension), 스마트 팩토리의 압도적인 생산 우수성(Excellence)을 바탕으로 글로벌 대형 제약사로 도약한다는 대웅제약의 비전이다.

대웅제약은 신약 개발 단계에서 글로벌 품목 허가와 계약을 동시에 진행해 국내 출시와 해외 진출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로써 신약 특허 만료 전 국내와 해외 출시의 격차를 최소화해 오리지널 신약의 주도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자체 개발 신약의 복합제 라인업과 적응증을 동시에 확대해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빠르게 성장시키겠고 설명했다.

또 엔블로에 기존 당뇨병 치료제를 더한 2제 복합제 '엔블로멧'의 국내 허가를 받아 올해 안에 출시할 계획이며, 펙수클루의 적응증을 확대해 개발 중이라고 대웅제약은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 브라질 식의약품감시국(ANVISA)으로부터 오송스마트팩토리에 대한 BGMP(우수원료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 인증도 받았다고 대웅제약은 덧붙였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미국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획득한 나보타와 신약 펙수클루, 엔블로는 역대 국산 신약들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며 "2030년까지 신약 매출 1조원을 달성하고 국내 1위 제약사, 국내 최초 글로벌 빅파마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척수손상 장애인 앉은키 8~9㎝ 작아…"휠체어 등 제품 설계 배려 필요"
척추 손상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앉은키가 비장애인보다 8∼9㎝가량 작고, 상체 둘레는 더 크지만 하체 둘레는 더 작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데이터를 장애인을 위한 제품, 공간, 서비스 설계에 활용하고 각종 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 장애인복지관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표원은 지난해 국내의 만 20∼60세 이상 성인 가운데 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 손상 장애인 338명(남자 246명·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인체치수를 조사했다. 29개 항목에 대한 직접측정과 45개 문항에 대한 심층 설문조사를 통해 앉은키, 앉은 눈높이,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 앉은 장딴지 둘레, 몸무게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 척수 손상 장애인의 앉은키는 남성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8.4㎝, 여성의 경우 9.4㎝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앉은 눈높이도 남성과 여성이 각각 7.4㎝, 9.2㎝씩 낮았다. 상체 둘레 항목인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는 남녀가 비장애인보다 각각 10

메디칼산업

더보기